"선반에 넣지 말라"…예약부터 탑승까지 확인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에어부산 여객기 화재 원인으로 지목된 건 보조배터리였습니다. 그렇다 보니 국내 항공사들은 예약부터 탑승까지 보조배터리 관리를 더욱 강화하고 있는데요.

달라진 공항 풍경을 김관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김포공항 체크인 카운터, 항공사 직원이 승객에게 보조배터리를 가지고 있는지 일일이 묻습니다.

[대한항공 직원 : 기내 수하물에 보조배터리 가지고 가십니까? 혹시라도 가지고 가시는 보조배터리 있으시면 반드시 고객님 몸에 소지 부탁 드리고요.]

비행기 안에서는 보조배터리를 직접 소지하거나, 좌석 주머니 등 눈에 보이는 곳에 둬야 한다고 안내합니다.

에어부산은 배터리가 없는 게 확인된 수하물에 스티커를 붙여 기내 선반에 올릴 수 있도록 했습니다.

제주항공은 기내 선반에 보조배터리를 보관할 수 없다는 내용에 동의해야 발권 절차가 진행되도록 했습니다.

에어부산 화재 이후 항공사들이 일제히 기내 보조배터리 관리 강화에 나선 겁니다.

광고 영역

승객들은 번거로움을 호소하기보다는 안전을 위해 필요한 조치라고 입을 모았습니다.

[이준경/서울 서대문구 : 많이 불편할 것 같은데, 그래도 화재가 나거나 위험에 문제가 있다면 감수할 마음이 있습니다.]

계도에 그쳐서는 안 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이상혁/서울 성북구 : 실효성을 가지려면 계도하는 게 아니라 이제 탑승할 때부터 조금 강하게 해야 되는 게 아닌가. 왜냐하면 이거는 생명과 직결된 문제고….]

보조배터리 관리 방식은 아직 항공사마다 제각각인 데다 법적 강제성도 없습니다.

[공하성/우석대 소방방재학과 교수 : 항공사마다 대책이 들쑥날쑥하기 때문에 주관 부서에서 규정을 세밀하게 만들어서 그 규정에 따라서 항공사들이 따를 수 있도록 제도를 마련할 필요가 있습니다.]

정부는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을 효과적으로 규제하기 위한 항공안전 혁신 방안을 4월까지 마련할 방침입니다.

(영상취재 : 오영춘, 영상편집 : 김윤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