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집 정보 많지만 거부 불가…중국 정부 열람 우려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우리 정부기관과 기업들이 유독 딥시크에 대한 정보 보안을 걱정하는 건 딥시크가 수집하는 정보가 챗GPT나 다른 AI에 비해 많기 때문입니다. 결국 이렇게 딥시크가 가져가는 정보를 중국 정부가 마음대로 들여다볼 수도 있다는 우려가 이번 논란의 핵심입니다.

박원경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딥시크와 오픈AI 챗GPT의 개인정보 보호 지침을 비교해 봤습니다.

이름과 연락처, 사용하는 기기 정보, 질문 내용 등 수집하는 정보 범위는 대체로 비슷합니다.

그런데 딥시크는 챗GPT에는 없는 '입력 패턴'도 수집합니다.

이렇게 되면 기기 사용자가 누군지 특정하기 쉽습니다.

생체 정보나 다름없는 겁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예를 들어 내가 코리아(KOREA)를 입력한다. 그럼 예를 들어 저는 KO는 좀 빨리 치고 REA는 좀 늦게 칠 수 있잖아요. 키보드 입력 패턴이 사람마다 다 조금조금씩 달라요.]

광고 영역

딥시크에는 이용자가 정보 수집을 거부하면 정보 수집을 할 수 없는 '옵트 아웃' 조항이 없다는 점도 문제로 지적됩니다.

이용자의 동의 여부와 관계없이 개인 정보가 수집되는 겁니다.

다만 챗GPT도 서비스 초기에 '옵트 아웃' 조항이 없다가 이후에 포함됐습니다.

[강정수/블루닷 AI 연구센터장 : 딥시크가 개선해야 될 문제라고 생각해요. 아직 서비스 초창기다 보니까 오픈 AI도 처음에는 몇 달 동안 없었고요.]

가장 큰 우려는 수집된 정보가 중국에 있는 서버에 저장된다는 점입니다.

중국은 지난 2021년 9월 데이터보안법을 제정해 시행하고 있는데, 국가 안보 수호나 범죄 수사의 필요에 따라 국가 기관이 정보를 수집할 때 관련 조직이나 개인은 이에 협조해야 한다고 규정하고 있습니다.

[김승주/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교수 : 미국은 지금 데이터 보안법 때문에 틱톡도 금지시키고 있는데, AI 서비스는 틱톡보다 훨씬 더 많은 정보를 수집할 수 있을 것 아니에요. 그러니까 이제 더 위험스러운 것으로 보고 있는 거죠.]

중국 정부가 딥시크가 수집한 정보를 마음대로 들여다볼 수 있다는 우려가 이번 논란의 핵심입니다.

(영상취재 : 김태훈, 영상편집 : 김종미)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인공지능(AI) 열풍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