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소벤처기업연구원(중기연)은 올해 중소기업의 10대 이슈로 고환율로 인한 수익성 악화 등을 선정했다고 오늘(6일) 밝혔습니다.
중기연은 '2025년 중소기업 10대 이슈와 대응방향' 보고서를 통해 중소기업이 올해 경제성장 둔화와 국가 간 무역분쟁 격화, 기술 격차 심화 등의 경영환경에 직면할 것으로 전망했습니다.
보고서는 미국과 EU(유럽연합)의 보호무역주의가 수출에 큰 영향을 미치고, 원화 가치 하락(원·달러 환율 상승)으로 인한 수입 원가 상승이 수익성을 악화시킬 것으로 내다봤습니다.
또 중소기업 내 선도 기업과 후발 기업 간 생산성 격차가 확대되고, 대출 연체율 상승과 금리 부담으로 한계기업이 늘어날 것으로 분석했습니다.
특히 글로벌 탈탄소 규제와 미국의 화석연료 지원정책 등 상충하는 정책으로 경영 불확실성이 커지는 가운데, 대-중소기업 간 신기술 도입 격차도 심화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와 함께 청년층의 중소기업 기피와 인력 고령화, 수도권과 비수도권 중소기업 간 격차 심화 등 구조적 문제도 여전하다고 짚었습니다.
중기연은 "인력난 해소와 신기술 도입 촉진, 재무 안정성 확보를 위한 구체적 정책들이 조속히 시행돼야 한다"며 "정부와 기업 간 긴밀한 협력이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번 10대 이슈는 5인 이상 중소기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와 전문가 검토를 통해 선정됐습니다.
(사진=중소벤처기업연구원 제공,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