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우디, '가자주민 강제이주' 트럼프 구상에 반대 표명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우측)과 무함마드 빈살만 사우디 왕세자(좌)

팔레스타인 주민을 이주시키고 가자지구를 점령해 개발하겠다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구상에 사우디아라비아가 반대 입장을 밝혔습니다.

로이터 통신에 따르면 사우디아라비아 외교부는 5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이라는 전제조건이 충족되지 않는다면 이스라엘과 수교할 수 없다고 밝혔습니다.

그러면서 "이스라엘의 점령 정책을 포함해 팔레스타인 주민의 이주나 영토 병합 등 팔레스타인 주민의 권리 침해는 무조건 반대한다"고 강조했습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스라엘과 사우디아라비아의 관계정상화를 중동평화 계획의 핵심으로 삼고 있습니다.

이는 집권1기이던 2020년 아랍에미리트(UAE), 바레인, 모로코 등과 이스라엘을 수교하도록 한 아브라함 협정의 확장이자 완결로 평가되는 과제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를 토대로 한 2기 중동정책과 관련해 가자지구에서는 팔레스타인인을 주변국으로 영구 이주시키고 휴양지로 개발하겠다는 계획을 밝혔습니다.

사우디의 성명은 이스라엘과의 수교 문제를 언급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가자지구 개발 구상을 반대하기 위한 목적으로 작성된 것으로 보입니다.

광고 영역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대로 가자지구에서 팔레스타인 주민들이 빠져나간다면 그간 '두 국가 해법'(two-state solution)에 따라 추진된 독립국 수립안은 사실상 불가능해집니다.

이번에 발표된 트럼프 대통령의 계획에 따르면 가자지구의 팔레스타인 주민들은 요르단과 이집트 등 주변국으로 영구적으로 이주해야 합니다.

사우디는 성명에서 팔레스타인 주민의 이주나 영토 병합에 반대한다는 점을 분명히 밝혔습니다.

사우디가 이날 성명에서 언급한 이스라엘과의 수교는 트럼프 1기 행정부에 이어 전임 바이든 행정부에서도 미국이 적극적으로 추진한 사안입니다.

이슬람 수니파의 맹주인 사우디가 이스라엘과 수교할 경우 이 지역의 긴장 완화, 미국을 겨냥한 이란에 대한 견제 강화에 결정적인 영향을 줄 것이란 이유에서입니다.

그간 사우디는 이스라엘과의 국교 체결의 전제조건으로 민간 분야 원자력 개발 허용과 함께 팔레스타인 독립국가 수립 등 까다로운 요구 조건을 내걸었습니다.

특히 사우디는 이날 성명에서 팔레스타인과 관련한 사우디아라비아의 입장은 협상 자체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확인한다고 밝혔습니다.

(사진=AP,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트럼프 2기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