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앞서 잠시 말씀드렸던 대로, 트럼프는 캐나다와 멕시코에 대해서는 한 달 동안 관세를 유예하겠다고 말했습니다. 예상치 못한 카드로 상대를 압박하고 벼랑 끝까지 몰아치는 트럼프 특유의 전략이 또다시 통했다는 평가입니다.
어떤 조건으로 타협점을 찾았을지, 워싱턴 남승모 특파원이 전하겠습니다.
<기자>
파국으로 치닫던 북미 관세 전쟁의 흐름을 바꾼 건 멕시코였습니다.
멕시코는 군 병력 1만 명을 국경지대에 투입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불법 이민자와 마약이 미국으로 넘어오지 못하도록 하라는 트럼프의 요구를 수용한 겁니다.
트럼프 미 대통령과 셰인바움 멕시코 대통령의 통화 후 멕시코에 대한 관세는 한 달 동안 유예됐습니다.
[클라우디아 셰인바움/멕시코 대통령 : 트럼프 대통령이 '유예 기간은 얼마 나요?'라고 물었고, 저는 한 달이라고 답했습니다. 이 한 달 동안 미국 국민과 멕시코 국민을 위해 좋은 결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고 확신합니다.]
캐나다와는 막판까지 치열한 신경전이 이어졌습니다.
트럼프는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 첫 통화 후 캐나다가 미국을 잘 대우하지 않는다며 불만을 쏟아냈습니다.
2번째 통화에서 국경 강화에 13억 달러 투입, 국경 마약 차단 인력 1만 명 유지, 마약 조직 테러리스트 지정 등을 얻어내고 한 달 유예에 합의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트뤼도 캐나다 총리와의 통화는 어땠나요?) 매우 좋았습니다.]
트럼프는 다음 관세 목표로 또다시 유럽연합을 언급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유럽연합은 오랫동안 미국을 이용해 왔습니다. 이제 그렇게 할 수 없을 것입니다.]
구체적인 시간표는 없지만 아주 이른 시일이 될 거라고 말했습니다.
트럼프식 전방위 압박에, 국방을 주제로 열린 유럽연합 정상회의는 트럼프 대책회의로 변했습니다.
유럽연합 정상들은 미국과 대화할 준비가 돼 있다면서도 불공정하고 독단적인 관세 부과에는 단호히 대응할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김병직)
---
<앵커>
네, 그럼 바로 워싱턴 특파원을 연결해서 미국의 생각은 어떤 건지도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남승모 특파원, 앞서 베이징 특파원한테도 비슷한 질문을 던져봤는데, 미국과 중국의 협상, 어떻게 흘러갈 것으로 예상됩니까?
<기자>
네, 트럼프 대통령은 이번에도 특유의 충격과 공포 전략으로 효과를 봤습니다.
수용하기 어려운 조건을 내걸고 캐나다와 멕시코를 압박해서 국경·마약 문제에서 원하는 성과를 얻은 건데요, 최근 불법 이민자 수용을 거부했다 관세 폭탄 위협에 결국 꼬리를 내린 콜롬비아도 비슷한 사례입니다.
하지만 중국은 좀 다릅니다.
이들 나라와 달리 대미 의존도가 상대적으로 낮고 다른 무역 파트너들도 많습니다.
게다가 중국은 패권 경쟁 상대죠.
무역 불균형 해소와 첨단기술 패권을 위한 수출 통제, 안보 문제 등을 놓고 더욱 격한 충돌로 번질 수 있습니다.
다만, 트럼프가 취임 100일 안에 중국을 방문해 시진핑 주석과 회동하고 싶단 의사를 밝힌 점, 중국 역시 어려운 내수 사정을 감안하면 타협의 가능성이 없지는 않습니다.
<앵커>
앞서 리포트도 나왔지만 미국은 이제 다음 관세 부과 대상으로 유럽연합을 꼽았는데 유럽의 나라들도 참 고민이 많을 것 같습니다.
<기자>
네, 유럽연합, EU의 최대 수출국이 바로 미국입니다.
재작년 기준 EU는 233조 원의 대미흑자를 기록했는데요.
트럼프로서는 곱게 보일 리가 없겠죠.
EU 회원국들이 관세위협에 공동 대응하겠다고 했지만 각국 이해관계가 갈리는 등 EU의 특성상 쉽지 않을 수 있습니다.
캐나다와 멕시코도 시간을 벌었지만 약속 이행이나 무역적자 문제가 완전히 해결된 건 아니어서 불씨는 남아 있습니다.
<앵커>
다른 나라의 일이라고만 생각할 수 없는 게 당장 우리나라 경제, 또 우리 기업들한테도 그 여파가 미칠 수 있는 거잖아요?
<기자>
네 우선, 미국과 중국은 우리나라의 양대 교역국이라 미중 무역전쟁이 시작되면 우리로서는 충격이 클 수밖에 없습니다.
상호 관세로 미중 간 교역이 감소하면 반도체 등 중간재를 중심으로 하는 한국의 대중 수출이 타격을 받을 수 있습니다.
유럽연합으로 관세 대상이 확대되고 우리 주력 수출품인 반도체, 철강 등에 관세가 붙을 걸로 보인다는 점도 문제입니다.
또 한미 FTA 재개정 가능성 등 한미 간 무역 불균형을 겨냥한 관세 정책에도 대비가 필요합니다.
(영상취재 : 박은하, 영상편집 : 채철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