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캐나다와 멕시코 또 중국에 관세를 매기겠다고 했던 미국 트럼프 대통령이 캐나다와 멕시코는 일단 유예하겠다고 막판에 입장을 바꿨습니다. 중국에만 곧바로 10%의 관세를 물리기로 했는데, 그러자 중국도 대응에 나섰습니다. 미국 제품에 보복 관세를 부과하고, 반도체 핵심 소재는 수출을 통제하기로 했습니다.
미국의 관세 폭탄에 맞선 중국 움직임, 먼저 베이징 권란 특파원이 전하겠습니다.
<기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예고했던 대중국 10% 추가 관세 발효 시각에 맞춰, 중국은 전방위 반격 조치를 쏟아냈습니다.
우선 미국이 적용한 것과 같거나 더 높은 보복관세로 맞불을 놨습니다.
오는 10일부터 미국산 석탄, LNG에 15%, 원유, 농기계, 대배기량 차량에 10%씩 추가 관세를 적용하기로 했습니다.
미국 기업 구글에 대해서는 반독점법 위반 혐의로 전격 조사에 착수했습니다.
미국 패션 기업 PVH, 바이오 기업 일루미나 등을 '신뢰할 수 없는 기업', 즉 블랙리스트에 올리며 중국과의 수출입을 금지했습니다.
트럼프의 '관세 무기'에 맞서 '자원 무기화'도 빼들었습니다.
중국이 세계 생산량의 80%를 차지하는 반도체 필수 소재, 텅스텐 등의 수출 통제는 오늘(4일)부터 즉각 시행됩니다.
[CCTV 보도 : 미국의 행위는 규칙에 기반한 다자간 무역 체제를 심각하게 훼손하고, 중미 양국의 경제와 무역 협력 기반을 파괴합니다.]
앞서 트럼프 대통령은 펜타닐과 파나마 운하 문제를 거론하며 중국을 압박했습니다.
한국 시간 내일 새벽을 시한으로 "24시간 내 대화" 계획을 밝히며, 협상 의사를 내비치기도 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국 대통령 : 대중국 관세는 개시 사격입니다. 합의하지 못하면 중국 관세는 더 올라갈 것입니다.]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일 관세 행정명령에 서명하며 상대국이 보복조치를 하면 관세를 더 올리겠다고 경고한 바 있습니다.
중국에서는 이번 조치를 '역습'이라 표현하고 있는데, 중국의 이번 반격이 관세 전쟁의 서막이 될지, 극적인 협상 카드로 작용할지 관심이 쏠리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양아타, 영상편집 : 김종미, 디자인 : 방민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