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137만 명 원치 않게 일터 떠나…초단시간 취업 250만 명 넘어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지난해 137만 명 이상이 직장 폐업이나 정리해고, 사업 부진 등으로 원치 않게 일자리를 떠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전년보다 10만 명 불어난 수칩니다.

이른바 '비자발적 실업자'는 '코로나19 엔데믹'(풍토병화) 고용훈풍 속에 감소하다가 내수 위축에 따른 고용 부진 등으로 인해 4년 만에 증가했습니다.

일주일에 근무시간이 18시간을 밑도는 초단시간 근무자는 처음으로 250만 명을 넘어섰습니다.

2일 통계청 고용동향 마이크로데이터(MD)를 분석한 결과, 지난해 비자발적 퇴직자는 137만 2천954명으로 집계됐습니다.

2023년과 비교하면 10만 6천761명(8.4%) 늘어난 수칩니다.

전체 퇴직자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2.9%였습니다.

퇴직자 10명 중 4명꼴로 원치 않게 회사를 그만뒀다는 뜻입니다.

정년퇴직·연로로 실직한 퇴직자(16만 4천740명)의 8.3배 규모입니다.

비자발적 실직은 '직장의 휴업·폐업', '명예퇴직·조기퇴직·정리해고', '임시적·계절적 일의 완료', '일거리가 없어서 또는 사업 부진' 등의 사유로 직장을 그만둔 사람을 뜻합니다.

광고 영역

개인적 이유나 가사, 육아, 심신장애, 정년퇴직, 급여 불만족 등으로 그만둔 퇴직자는 포함되지 않습니다.

비자발적 퇴직은 '코로나19 쇼크'로 2019년 132만 9천927명에서 2020년 180만 6천967명으로 47만 7천29명(35.9%) 급증했다가, 2021년 169만 3천825명·2022년 129만 8천454명·2023년 126만 6천191명 등으로 3년째 감소세를 이어왔습니다.

코로나19 기저효과 등에 따른 고용반등 효과가 작용한 것입니다.

그렇지만 내수부진의 골이 깊어지고 전반적인 성장세도 둔화하면서 비자발적 퇴직도 다시 증가한 것으로 보입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