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세번째 우클릭' 나설까…내일 반도체법 토론 주재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가 실용주의 노선과 경제 성장론을 강조하며 '우클릭' 행보 중인 가운데 반도체 특별법에 대해 어떤 입장을 내놓을지 이목이 쏠리고 있습니다.

이 대표는 오는 3일 반도체 특별법과 관련한 정책 토론회를 주재하고, 노동계와 산업계 양측의 의견을 수렴합니다.

민주당은 법안 내용 중 특정 반도체 산업 종사자를 주 52시간 상한제 적용에서 예외로 한다는 조항에 대해 반대 입장을 고수해왔습니다.

특히 노동계가 강력히 반대하고 있는 만큼 민주당으로서는 협상의 여지가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나왔으나, 이 대표가 전향적 결정을 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이 대표는 지난달 23일 신년 기자회견에서 반도체 특별법과 관련해 "필요한 조치를 과감하고 전향적으로 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하기도 했습니다.

게다가 어제는 중국 인공지능(AI) 스타트업 '딥시크'발 충격파와 관련해 AI 개발에 대한 전폭적인 국가적 지원을 촉구하기도 했습니다.

앞서 이 대표는 어려운 주식 시장 상황 등을 고려해 당론을 번복하고 금융투자소득세 폐지 결정을 내렸고, 가상자산 과세 문제 역시 유예론에 동의했던 만큼 세 번째 '우회전'에 나설지 주목됩니다.

광고 영역

당내에선 이 대표가 실용주의를 전면에 내세우는 만큼 전향적 결정을 할 수도 있다는 관측과 당 노동 정책의 핵심인 주52시간제는 손댈 수 없을 것이라는 전망이 교차합니다.

친기업 행보로 얻을 수 있는 '산토끼' 유입과 기존 노동 담론에 충실한 결정으로 '집토끼' 지키기 간의 이해득실을 따져가며 정책 시험대에 오르는 셈입니다.

최근 이 대표는 민생 경제 회복을 제1의 과제로 정하고 경제 성장 담론에 집중해 실용적인 지도자 이미지를 구축하는 데 힘을 쏟고 있습니다.

조기 대선 가능성 앞에 여론이 보수와 진보로 팽팽히 양분된 만큼 중도층과 보수층을 끌어안고 당의 외연을 확장하려는 '대선 플랜'의 일환이라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이 대표는 신년 기자회견에서 기존 진보 진영의 화두인 분배보다는 성장을 우선시하겠다는 뜻을 피력하기도 했습니다.

오랫동안 주장해 온 민생회복지원금도 포기할 수 있다며 여당에 추경 편성을 요구하고, 여야 협상이 교착 중인 국민연금 개혁 논의와 관련해선 이달 중 모수 개혁 입법을 완료하라는 지시를 내리기도 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