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군함도 후속조치 보고서 제출…'강제동원' 명시 요구 미반영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군함도

일본이 조선인 강제노역 현장인 '군함도' 탄광을 포함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을 지난 2015년 세계문화유산 등재했을 당시 했던 약속을 이행하는 데 여전히 소극적으로 나서고 있습니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는 지난달 31일(현지시간) 일본이 제출한 메이지 산업혁명 유산 관련 후속조치 보고서를 홈페이지에 공개했습니다.

이 보고서는 지난해 9월 위원회가 유산 등재 후속 조치에 대해 관련국과 대화하고 약속 이행이 중요하다는 결정을 내리면서 일본에 추가 조치 진전사항을 제출해 달라고 요청한 데 따른 것입니다.

앞서 일본은 군함도 탄광 등 조선인 강제노역 시설 7곳을 포함한 메이지 시대 산업유산 23곳을 세계문화유산으로 등재하는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반발 등 논란이 일자 희생자들을 기리는 정보센터를 설치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그러나 산업유산정보센터를 유산 현장이 아닌 도쿄에 만들었고, 전시물에 조선인 차별과 인권 침해가 있었다는 사실을 부각하지 않았습니다.

한국 정부는 정보센터에 한국인 강제동원 피해자 증언을 전시하라고 요청해 왔지만, 일본은 한국인 노동자 증언 관련 연구용 참고자료를 센터 서가에 비치했을 뿐이었습니다.

또 강제동원 시설에서 '다수의 한국인 등이 본인의 의사에 반해 동원돼 가혹한 조건에서 강제로 노역'한 전체 역사를 설명하라고 요청했지만, 일본은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 관련 설명과 도쿄센터 개관일 확대 등을 '조치'로 내세웠습니다.

광고 영역

2023년 9월 일방적으로 도쿄센터에 설치한 한일 강제병합 합법성 전시물과 강제동원 부정 자료 등을 철거하라는 한국 정부 요청도 받아들여지지 않았습니다.

외교부는 대변인 논평을 내고 "세계유산위원회의 거듭된 결정과 일본 스스로 약속한 후속 조치들이 충실히 이행되지 않고 있는 데 대해 다시 한번 유감을 표한다"고 밝혔습니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에 성실히 대화에 임할 것을 촉구할 것이고 정부 차원에서 앞으로 한일 양자뿐 아니라 유네스코 틀 내에서도 일본의 약속 불이행에 대해 문제를 제기해 나갈 예정이라고 설명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