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월세 시대"…작년 주택 임대 10건 중 6건이 월세 계약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서울 용산 일대의 빌라 모습

지난해 아파트와 연립·다세대 등 주택 월세 비중이 역대 최고치인 60%에 육박했습니다.

고금리와 전세사기 여파 등으로 전세의 월세 전환이 가팔라지고 있습니다.

오늘(30일) 대법원 등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에서 확정일자를 받은 주택 임대 계약 총 247만 6천870건 가운데 월세 계약은 142만 8천950건으로 전체 거래의 57.7%를 차지했습니다.

이는 대법원에 확정일자 정보가 취합되기 시작한 2014년 이후 가장 높은 수치입니다.

주택 월세 비중은 2020년까지만 해도 40.8%에 그쳤으나, 2021년 43.8%로 오른 뒤 2022년에 처음으로 51.9%를 기록하며 전체 전월세 거래량의 절반을 넘어섰습니다.

이어 2023년 54.9%로 늘었고, 지난해에는 57%를 넘어서며 불과 4년 만에 41.4%가 급증했습니다.

이처럼 월세 비중이 급격하게 늘어난 것은 2022년부터 불거진 전세사기 여파로 빌라(연립·다세대) 시장의 전세 기피 현상이 심화하고 있어서입니다.

광고 영역

빌라 시장은 최근 보증금을 제때 돌려받지 못하는 역전세 우려로 한 때 매매가격에 육박했던 전셋값이 떨어지고, 전세금 반환 차질을 우려한 임차인들이 보증금을 낮추는 대신 월세로 돌리는 사례가 늘고 있습니다.

실제 국토교통부 집계에 따르면 지난해 1∼11월 아파트 월세 비중은 44.2%로, 전세사기 문제가 시작된 2022년(43.1%)에 비해 소폭 증가한 반면, 전세사기 피해가 컸던 연립·다세대 등 비아파트는 2022년 동기간 59.5%에서 지난해는 69.5%로 10%포인트가 늘었습니다.

보증금 부담이 큰 아파트는 여전히 임차인이 전세를 선호하지만 빌라는 역전세난 우려에 월세 전환 속도가 더욱 빨라진 것입니다.

지난해 지역별 주택 월세 비중은 제주도가 78.5%로 전국에서 가장 높았습니다.

10건의 임대차 계약 중 약 8건가량이 월세인 셈입니다.

이어 충남이 64.0%로 뒤를 이었고, 대전 63.4%, 부산 62.1%, 경남 61.9%, 울산 61.5%, 서울 60.3% 등의 순으로 월세 비중이 높았습니다.

이에 비해 전남은 월세 비중이 44.5%로 전국 최저였고, 충북(50.4%)과 인천(51.6%) 등도 월세 비중이 상대적으로 낮았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부동산 정책 · 시장 동향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