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른김 아직 '금값'인데…산지 물김 3천t 폐기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최강 한파에도 김 수확 한창

국민 밥반찬인 김 가격이 여전히 고공 행진하는데 산지에서는 마른김 원료인 물김 가격이 곤두박질쳐 양식 어가가 생산비도 못 건진다며 울상을 짓고 있습니다.

새해 들어 바다에 버려진 물김은 한 달도 안 돼 3천t(톤) 정도로 늘었습니다.

마른김과 조미김 가격은 지난해부터 가파르게 올랐습니다.

지난해 5월 CJ제일제당에 이어 동원F&B가 김 가격을 두 자릿수 인상한 바 있습니다.

이 때문에 올해 설 선물세트에 들어가는 김도 지난해 설보다 양이 줄었습니다.

오늘(24일) 농수산식품유통공사 집계에 따르면 마른김(중품) 10장 평균 소매가격은 전날 기준 1천467원으로 작년보다 44% 올랐고 평년보다는 57% 비쌉니다.

하지만 산지에서 양식 어가가 생산하는 물김 가격은 1년 전의 3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습니다.

광고 영역

수협중앙회 집계를 보면 지난 11∼22일 물김 ㎏당 위판 금액은 588원으로 작년 동기(1천609원)보다 63% 급락했습니다.

지난 21일에는 ㎏당 가격이 500원 아래로 내려가기도 했습니다.

지난 11∼22일 물김 위판 중량은 6만 7천245t으로 32% 늘었는데 총금액은 395억 원으로 52% 감소했습니다.

해양수산부가 지난해 신규 양식을 허가해 양식 면적이 다소 늘어난 데다 작황이 좋아졌고 불법 양식까지 늘어나 물김 생산량이 급증했습니다.

그러면서 경매에서 유찰돼 폐기되는 물김도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물김이 폐기되는 것은 생물이라 보관할 수 없기 때문입니다.

해수부와 전남도 등에 따르면 지난 22일까지 진도군과 해남군 두 곳에서 폐기된 물김만 2천400t에 이릅니다.

다른 지역까지 합치면 모두 3천t에 이르는 것으로 추산됩니다.

진도에서는 1천909t이 폐기됐으며 해남에서는 494t이 버려졌습니다.

전북 군산시와 전남 고흥군 등지에서도 지난주까지 약 300t이 버려졌으며 폐기는 이번 주에도 이어졌습니다.

고흥군에서는 매일 15척 넘는 배의 물김이 그대로 바다에 폐기되고 있습니다.

열흘 새 고흥에서 폐기한 물김은 100척에 이릅니다.

신안군의 한 김 양식 어민은 "산지에서 120㎏ 한 망이 10만 원대에서 4만∼5만 원으로 내려갔다가 지금은 2만∼3만 원밖에 안 돼 참담하다"고 말했습니다.

해수부는 마른김 업체들이 물김 가격이 더 하락할 것을 기대하면서 관망하고 있는 것도 물김이 버려지는 이유 중 하나라고 지적했습니다.

해수부 관계자는 "물김 생산자와 마른김 생산자가 상생할 수 있는 접점을 찾아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마른김 업체가 물김을 구매할 수 있도록 자금을 지원할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해남과 진도 등 일부 지역에서는 지방자치단체와 수협이 물김 폐기 어민에게 자금을 지원하기 시작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