트럼프 "전기차 의무화 폐지"…국내업체 '후폭풍'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지난 바이든 정부에서는 새로 나온 차의 일정 부분은 반드시 전기차여야 한단 규정이 있었는데 트럼프는 그것도 폐기하겠다고 선언했습니다. 그동안 미국에 많은 투자를 해왔던 국내 자동차와 배터리 업계는 그 후폭풍이 어디까지일지 예의주시하고 있습니다.

이 내용은 박원경 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트럼프 대통령은 2030년까지 미국에서 판매되는 모든 신차의 50%를 전기차로 하겠다는 바이든 전 대통령의 행정명령을 폐기했습니다.

[도널드 트럼프/미 대통령 : 그린 뉴딜을 끝내고 전기차 의무 구매제를 폐지하여 자동차 산업을 살리고, 미국의 훌륭한 자동차 노동자들에게 한 약속을 지킬 수 있게 되었습니다.]

또 전기차 구매를 사실상 의무화하는 불공정한 보조금 폐지를 검토하라는 행정명령을 내렸습니다.

전기차와 배터리 관련 세제혜택의 근거가 되는 IRA, 즉 인플레이션 감축법을 겨냥한 조치입니다.

최대 시장인 미국에서 전기차 확산 속도는 둔화될 수밖에 없게 됐습니다.

지난해 말부터 미국 조지아주에서 전기차 공장을 가동 중인 현대차그룹에도 영향이 불가피하지만, 파장은 제한적일 거란 관측이 나옵니다.

광고 영역

[김경유/산업연구원 연구위원 : (현대차가 미국 공장을) 시장 상황에 따라서 하이브리드 자동차로 대체해서 생산하겠다고 이야기하고 있는 만큼 부정적 영향이 클 것 같지는 않고요.]

다만, 그만큼 국내 생산 하이브리드 차량의 수출 감소와, 부품 업체들의 피해는 불가피할 거란 전망도 있습니다.

[이항구/자동차융합기술원장 : 과거에는 현대·기아차가 미국 내 생산을 늘리면 우리 부품 수출이 늘어났어요. 근데 이 효과도 거의 상당폭 줄어들 가능성이 있죠.]

미국 내 공장 건립을 진행 중인 국내 배터리 3사의 고민은 더 커졌습니다.

[김필수/대림대 미래자동차학부 교수 : (투자금을) 이제 거둬들여야 되는데 보조금과 세제 혜택 같은 것들이 줄어들거나 없어지게 되면은 당장 매출이 없어진다는 뜻이기 때문에.]

트럼프 대통령이 기존 무역 협정에 대해 재검토를 지시하면서 트럼프 1기 때와 같이 한미 FTA 수정을 요구할 가능성도 점쳐집니다.

[안덕근/산업통상자원부 장관 : 불확실성이 투자 계획이라든가 사업을 하는 데 있어서 가장 어려운 부분인데 최대한 빠른 시간 내에 미국 신 행정부와 소통을 하면서 그런 부분들을 풀어나갈 수 있도록 노력하겠습니다.]

정부는 업계와 실시간 정보 공유를 통해 공동 대응을 강화하는 한편, 실무대표단을 미국에 급파해 미국 측 조치의 배경과 세부내용을 파악하기로 했습니다.

(영상취재 : 이상학, 영상편집 : 최혜란)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트럼프 2기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