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또 '조사 거부'…구속영장 청구 임박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윤 대통령은 어제(16일) 이어 오늘 오전 10시 공수처 조사에도 불출석했습니다. 수사팀은 오늘 중 구속영장을 청구할 예정입니다. 현장 취재기자 연결합니다.

한성희 기자, 윤 대통령이 또 불출석했는데, 바로 구속영장을 청구하게 되나요?

<기자>

공수처 수사팀은 법원의 체포적부심 기각 결정 이후인 오늘 오전 0시 35분, 서울중앙지법으로부터 제출했던 수사자료를 모두 돌려받았습니다.

이게 어떤 의미냐면, 법원에 서류를 낸 순간부터 중지됐던 48시간의 체포 시한이 서류를 돌려받으면서 다시 흘러가게 된 건데요.

이로써 당초 오늘 오전 10시 33분이었던 체포 시한은 오늘 밤 9시 5분까지로 연장됐습니다.

공수처는 오늘 오전 10시에 2차 조사에 출석할 것을 통보했지만, 윤 대통령 측은 불출석했습니다.

윤 대통령 측은 "첫 조사에서 충분히 기본입장을 밝혔고, 일문일답식 신문에 답할 이유나 필요성이 없다"고 밝혔습니다.

수사팀은 오늘 추가 출석 요구 없이, 시한 만료 전인 오후 중에 구속영장을 법원에 청구할 걸로 보입니다.

광고 영역

<앵커>

조사는 체포 당일 한 차례였는데, 충분하다는 건가요?

<기자>

네, 윤 대통령은 그제 있었던 1차 조사에서 검사와 수사관의 모든 질문에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진술 거부권을 행사한 건데요, 당초 수사팀은 윤 대통령이 첫 조사에 응한 뒤 이후 조사부터는 응하지 않을 것임을 어느 정도는 예상했던 것으로 전해집니다.

때문에 체포 당일인 그제 10시간여 이뤄진 첫 조사에서 준비한 질문 대부분을 소화했는데요.

윤 대통령은 다만 질문에는 답하지 않으면서도, 12·3 비상계엄 선포의 정당성에 대해 강조하는 발언을 한 걸로 파악됐습니다.

특히 자신이 선포한 계엄을 "판·검사가 판단할 수 있는 문제가 아니라"며 "오직 대통령만이 판단할 수 있는 통치행위"라고 말한 것으로 저희 취재 결과 드러났습니다.

내란 혐의를 부인할 뿐 아니라, 지금 이뤄지는 모든 수사와 향후 사법부 재판까지 부정하는 취지로 보입니다.

또 윤 대통령은 수사팀이 서울 서부지법에 체포영장을 청구한 점을 강하게 따져 물은 걸로 전해졌습니다.

공수처 관계자는 체포영장을 발부받은 법원에 구속영장도 청구하는 게 관례라며, 서부지법에 구속영장을 청구할 가능성이 높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이승학·김승태, 영상편집 : 김윤성)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