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브스프리미엄

"이런 사람 밑에 있다면 당장 도망가라" 나쁜 상사의 8가지 특징 [스프]

[조직생활, 제갈량에게 묻다 ④] 안하무인 상사 곁에선 도망치는 게 상책 (글 : 양선희 소설가)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지피지기 백전불태! 친중(親中), 반중(反中)을 넘어 극중(克中)을 위한 지식충전소! 진짜 중국을 만나러 갑니다!

어떤 조직에서든 함께 일하기 어렵거나 위험하기까지 한 사람은, 자신의 본성대로 혹은 본능에 따라 일하는 사람일 겁니다. 그런 사람은 주변 사람을 괴롭히고 심하면 조직을 위험에 빠뜨리기도 합니다. 게다가 그런 사람은 곁에 있는 사람들을 위험해지게 만들기도 하죠.

옛 속담에 '모진 사람 옆에 있다간 벼락 맞는다'는 말이 있지요. 바로 이런 경우입니다. 공자님은 '똥 싸는 사람' 일화에서 길거리에서 똥을 쌀 정도로 안하무인에 제멋대로 행동하는 사람은 가르치거나 좋은 길로 이끌려고 해 봐야 소용없다며 그런 사람 곁에선 도망치는 게 상책이라고 했습니다. 사람은 변치 않는 것이고, 이미 안하무인으로 길을 잡아 가는 사람을 선량하게 이끄는 것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라는 겁니다.

순자는 성악 편에서 "인간의 본성은 악하다"라고 정의합니다. 사람의 기본값은 '누구나 자기 이익을 추구하는 삶'을 살도록 설정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그럼에도 이후 성인의 삶을 사는 사람도 있고, 악인으로 마무리하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 큰 차이는 자기 수련의 정도가 만드는 것입니다.

누구나 관리(장수)의 직에 오를 수 있습니다. 그 직분을 자신과 주변인, 그리고 조직 모두에게 이롭게 하기 위해서는 자기 수양이 필요하겠지요. 제갈량은 장수가 자기 수련을 하는 과정에서 경계해야 하는 여덟 가지 항목을 정리했습니다. 이 기준으로 자신을 돌아보고 평가하고, 경계하는 마음을 갖는 것이 중요합니다.

또 이 항목들은 조직 내에서 자신의 윗사람 혹은 주변 사람을 평가하는 기준으로 활용할 수도 있습니다. 사실 조직 내 사람의 평가 기준을 갖는 일을 매우 중요합니다. 나의 상사 또는 동료가 어떤 성향의 인물인지 파악해야 그에 대응하는 전략을 세울 수 있어서입니다.

# 장수가 경계해야 하는 8가지

① 끝없이 일어나는 탐욕

② 현명하고 실력 있는 사람에 대한 질투심

③ 다른 사람을 욕하는 참언을 쉽게 믿고, 아첨을 좋아하는 성향

④ 남의 단점을 금세 알아보면서도 자신의 단점은 알지 못하는 것

⑤ 스스로 결단하지 못하는 우유부단함

⑥ 주색을 밝히는 황음한 성정

⑦ 전쟁터가 아닌데도 평소 거짓과 궤사를 일삼으며, 죽음을 두려워하는 간사와 비겁

⑧ 말이 추잡하거나 경솔하고 예의에서 벗어나는 무례

이와 함께 최소한 관리자급(장수) 이상이 되려면 어떤 태도와 자질을 갖추어야 하는지도 정리하고 있습니다.

# 장수가 갖춰야 할 태도와 자질

무기(병기)는 흉기이며, 장수의 임무는 위험하다. 병기가 너무 단단하면 쉽게 파손되고, 장수의 임무가 너무 무거우면 위험도 커진다.

뛰어난 장수는 용감무쌍한 기세로 난폭하게 굴거나 완강한 모습을 보이지 않는다.

권세를 믿고 다른 사람을 업신여기지 않고, 윗사람이 믿고 총애해도 기뻐하지 않고, 굴욕 앞에서도 두려워하지 않는다.

이익을 탐하지 않고, 여성에게 음탕하게 굴지 않으며, 국난을 당하면 자신의 몸을 던져 나라를 구하고자 헌신한다.

실제로 진짜 실력 있는 사람은 시끄럽지도 않고, 일부러 으스대지도 않으며 남을 깔보지도 않습니다. 실력 있는 사람은 다른 사람이 아닌 자신에게 몰입해 있으므로, 오히려 남들의 성취를 엿보며 애태우지 않기 때문일 겁니다.

여기서 재미있는 대목은 2천 년 전에도 여성에게 음탕하게 구는 '성추행'의 동기를 가진 사람은 장수로서 자질이 없는 것으로 치부되었다는 것입니다. 또한 예의 바른 행동도 강조하고 있지요. 실제로 상대를 인정하고 예의 바르게 행동하는 사람들과는 일하기 편하고, 주변 사람들이 돕고 싶어 하기에 성과도 더 오를 것입니다.

시끄럽고 으스대고 남들을 구박하거나 주변의 일에 일일이 나서고 참견하는 사람들 중에 실력 없고 겁 많은 자들이 많지요. 그런데 친절하고 다정하게 대하고, 말은 시원시원한데 실력이 없어서 되는 일이 없는 사람도 있습니다. 그런 한편으론 실력은 있는데 거만하고, 무정하고, 잘난 척하는 것으로 보여 '영 아닌 사람'도 있습니다. 인간관계의 역학은 그리 단순하지 않으니 문제입니다.

(남은 이야기는 스프에서)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스브스프리미엄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