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김치 수출량 '역대 최대'…신시장 개척 나선다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마트에 진열된 김치

K-푸드가 세계적인 인기를 끌면서 작년 김치 수출량과 수출액이 모두 최대치를 경신했습니다.

12일 농림축산식품부에 따르면 작년 김치 수출량은 4만 7천100t(톤)으로 전년보다 6.9% 늘었습니다.

김치 수출량은 지난 2020년 3만 9천700t에서 2021년 4만 2천500t으로 7.1% 늘었다가 2022년에는 4만 1천100t으로 소폭 감소했고, 2023년(4만 4천t)과 작년까지 2년 연속 증가했습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작년에는 이상 기후로 인한 배추 수급 애로, 해외 물류비용 상승 등으로 여건이 어려웠지만 K-푸드 대표 식품이자 비건·발효식품으로 김치에 대한 인식이 확산하면서 수출이 안정적으로 성장했다"고 말했습니다.

수출량 증가에 따라 작년 수출액도 전년보다 5.2% 늘어 1억 6천360만 달러(약 2천400억 원)로, 최대 기록을 새로 썼습니다.

앞서 김치는 교민 시장이나 아시안 마켓을 중심으로 판매됐지만 수년간 기업의 판로 개척, 정부 지원 등에 따라 현재는 수출국이 90여 개국으로 늘었습니다.

수출국은 지난 2020년 85개국에서 2023년 98개국까지 증가했다가 작년에는 95개국으로 소폭 감소했습니다.

광고 영역

작년 우리나라가 김치를 가장 많이 수출한 국가는 일본이었습니다.

2위와 3위 수출국은 각각 미국, 네덜란드입니다.

두 나라로의 김치 수출량은 전년 대비 각각 25.2%, 28.9% 늘었습니다.

4위 수출국은 캐나다로 수출량 증가율이 61.5%에 달했고, 5위 호주로의 수출도 37.2% 늘었습니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미국에서는 코스트코, 월마트 등 현지 유통사 입점이 확대됐고 다양한 김치 품목을 새로 선보이면서 수출이 연중 안정적인 증가세를 보였다"고 말했습니다.

이어 "유럽에서는 한식당의 인기가 높아지고 현지식에 김치를 적용한 조리법(레시피)이 확산하면서 네덜란드와 영국, 프랑스 등으로 수출이 늘었다"고 설명했습니다.

일본의 경우 수출 1위 시장이기는 하지만 엔저 영향으로 현지 생산 김치와 가격 경쟁이 심화하면서 수출량은 8.9% 줄었습니다.

국내 수출기업은 해외 각국 수요에 부합하는 제품을 개발하고, 마케팅을 강화해 올해도 시장 개척에 적극 나선다는 방침입니다.

대상은 종가 김치 수출국에서 판매 채널을 다각화하고 신제품을 추가로 선보여 매출을 확대할 계획입니다.

올해 하반기 폴란드 김치 공장이 완공되면 유럽 시장 공략이 본격화될 것으로 보입니다.

CJ제일제당은 현지 대형 유통채널 입점을 지속 확대하고 다양한 K-콘텐츠와 협업을 통해 인지도를 높인다는 방침입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