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 세계 플라스틱 오염 끝내자…플라스틱 협약 '담판' 내일부터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 부산 벡스코에서 열리는 국제 플라스틱 협약 제5차 협상회의(INC5)를 앞두고 23일 오후 부산 해운대구 올림픽공원에서 16개 환경단체로 구성된 '플뿌리연대'(플라스틱 문제를 뿌리 뽑는 연대) 회원들과 전세계 환경단체 회원들이 강력한 국제 플라스틱 협약을 위한 1123 시민행진을 진행하고 있다.

부산에서 내일(25일)부터 1주일간 전세계 플라스틱 오염을 끝내기 위한 마지막 담판이 열립니다.

'해양 환경을 포함한 플라스틱 오염에 관한 법적 구속력 있는 국제문서', 즉 플라스틱 협약 성안을 위한 제5차 정부 간 협상위원회(INC-5)가 열리는 것입니다.

유엔 회원국들은 재작년 3월 플라스틱 생산부터 폐기까지 전 주기를 다루는 법적 구속력 있는 협약을 올해까지 마련해 플라스틱 오염을 종식하기로 합의했습니다.

이번 5차 협상위에는 170여개국 정부 대표단을 비롯해 약 4천명이 참석할 예정입니다.

플라스틱을 사용하지 않는 곳은 사실상 없는 만큼, 이 협약이 체결되면 유엔기후변화협약처럼 전 인류에게 영향을 주는 환경협약이 될 전망입니다.

플라스틱은 매년 4억6천만t(톤) 이상 생산되며, 이 가운데 절반 이상이 '일회용'입니다.

1950년대부터 생산된 플라스틱을 모두 합치면 90억t에 달할 것으로 추산됩니다.

오프라인 광고 영역

지금까지 생산된 플라스틱의 99%는 화석연료에서 추출한 화학물질로 만들어졌습니다.

폐플라스틱 재활용률은 9%에 그쳐, 나머지 91%는 '잘' 관리되면 매립·소각되고 잘못 관리되면 자연으로 유출됩니다.

협약 체결을 위한 담판의 첫번째 쟁점으로는 '플라스틱 생산 규제'가 꼽힙니다.

화석연료에서 원료를 추출해 만든 새 플라스틱인 '1차 플라스틱 폴리머' 생산 규제를 두고 ' 2040년까지 2025년 대비 생산량 40% 감축'과 같이 목표를 명시하자는 국가부터, 규제 자체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국가까지 다양한 입장이 존재합니다.

협상위 의장 루이스 바야스 발비디에소 주영국 에콰도르대사는 최근 협상 촉진용 제안문에서 '전 주기에 걸쳐 지속가능한 플라스틱 생산과 소비 수준을 달성하기 위해 1차 폴리머 공급을 관리할 필요성이 인정된다'는 문구를 제시했습니다.

플라스틱에 '우려 화학물질'(Chemicals of Concern) 사용을 금지하는 것을 두고도, 써선 안 되는 화학물질을 협약에 열거하고 규제하자는 입장, 협약엔 기준만 제시하고 각국이 알아서 규제하자는 입장, 우려 화학물질 규제는 애초 협약에 담기로 합의한 내용이 아니라는 입장 등이 충돌합니다.

'플라스틱·우려화학물질 감량과 재사용·수리·재활용 가능성 향상 등을 위한 '플라스틱 제품 디자인'과 '생산자책임재활용제(EPR) 도입 등 재활용률 제고를 비롯한 플라스틱 폐기물 관리 방안' 등도 협상위에서 다뤄집니다.

플라스틱 오염 종식에 드는 재원을 어떻게 마련할지도 중요한 쟁점입니다.

현재 기후변화 대응 과정에서 돈 문제가 가장 큰 갈등 요소입니다.

오프라인 본문 이미지 - SBS 뉴스
23일 '플뿌리연대'(플라스틱 문제를 뿌리 뽑는 연대) 회원들과 전세계 환경단체 회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최근 제29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9)에서는 개발도상국 기후변화 대응을 위해 2035년까지 연간 3천억달러 규모 기금을 조성하는 새 기후재원 목표에 어렵게 합의했지만, 이걸로는 부족하다는 비판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유엔은 "현재 협상이 (플라스틱) 생산국 책임을 플라스틱 오염에 대응할 역량이 부족한 개도국에 전가하는 방향이라는 지적이 있다"고 밝혔습니다.

3차 협상위까지 33쪽이었던 협약 초안은 4차 협상위를 거치며 77쪽까지 오히려 늘었고, 문구를 협약에 넣느냐 맞느냐를 놓고 이견이 있음을 표시하는 '괄호'만 만 3천 700여 개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G2인 미국과 중국 입장에 관심이 쏠리는데, 중국은 플라스틱 생산 규제를 받아들일 수 없다는 입장이 확고하고 생산 규제를 지지할 것으로 전해졌던 미국은 각국이 자체 감축목표를 설정하는 방안을 지지하는 쪽으로 물러선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런 상황 속에 부산에서는 잘해야 '선언적 협약'만 마련될 것이란 전망이 우세합니다.

협상위 의사결정 방식이 만장일치제여서 추가 협상위가 열릴 가능성도 있습니다.

한국 정부는 "플라스틱 전 주기를 다루는 효과적이고 이행할 수 있는 국제협약이 조속히 성안되게 노력한다"라는 입장으로 절충안도 마련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오프라인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오프라인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