적전분열…네타냐후-국방장관, '절대적 승리' 놓고 또 충돌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

요아브 갈란트 이스라엘 국방장관이 헤즈볼라와의 전쟁을 두고 12일(현지시간) 네타냐후 총리와 양보 없는 설전을 벌였습니다.

하마스 일인자였던 이스마일 하니예 암살에 대한 이란의 보복이 예고된 상황에서 이스라엘 수뇌부가 적전분열 양상을 또다시 연출하는 모양새입니다.

일간 하레츠, 타임스오브이스라엘 등 현지 매체에 따르면 갈란트 장관은 이날 의회(크네세트) 외교국방위원회에 출석해 "이란과 헤즈볼라의 위협이 현실화할 수 있다"며 이에 대한 대비를 강화하고 있다고 밝혔습니다.

갈란트 장관은 "지난 며칠간 우리는 방어를 강화하고 대응 공격 옵션을 만드는 데 시간을 할애했다"며 "언제 어디서든 이스라엘 국민을 보호하는 게 목표"라고 강조했습니다.

그는 이스라엘군이 왜 헤즈볼라를 겨눠 레바논과 전쟁을 벌이지 않느냐는 질문에 "영웅들의 북소리와 함께 '절대적 승리' 같은 횡설수설이 들려온다"고 답했습니다.

이는 네타냐후 총리가 종종 "절대적인 승리를 쟁취할 때까지 싸움을 멈추지 않을 것"이라며 인질 석방을 위한 휴전 협상보다 전쟁을 강행하겠다는 뜻을 굽히지 않는 것을 겨냥한 발언으로 해석됐습니다.

갈란트 장관은 "오늘 레바논에서 전쟁을 치르는 상황은 (작년 10월 하마스로 인해) 이 전쟁이 시작된 상황과는 다르다"고 선을 그었습니다.

그는 "우리는 작전에서 성과를 이루고자 노력해야 할 의무가 있고 인질 귀환 조건을 만드는 데에도 노력해야 한다"며 "이런 조건은 군사적 압력을 통해 만들어질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이에 이스라엘 총리실은 성명에서 "갈란트 장관도 '절대적 승리' 약속에서 벗어날 수 없다"며 "그의 발언은 반(反)이스라엘적이며 인질 협상 합의를 방해한 것"이라고 정면 비판했습니다.

또 "그는 대표단 파견을 거부하는 협상의 유일한 장애물 야히야 신와르를 비난했어야 마땅하다"고 비판했다.

휴전 협상 공전의 책임은 네타냐후 총리가 아니라 하마스의 최고 정치지도자 신와르에게 있다는 것입니다.

성명은 이어 "이스라엘의 선택지는 완전한 승리 하나뿐이다. 그러려면 하마스 군사 조직과 통치조직을 제거하고 우리 인질을 구해야 한다. 승리는 이뤄질 것"이라고 강조했습니다.

네타냐후 측은 이런 목표를 현실화하는 것은 총리와 내각의 명령이며, 갈란트 장관을 포함한 정부 관계자 모두는 이 명령을 따라야 한다고 목소리를 높였습니다.

갈란트 장관도 물러서지 않았습니다.

그는 소셜미디어에 게시한 글에서 "오늘 외교 국방위에서 나는 전쟁 목표를 달성하고 하마스 해체와 인질 귀환 때까지 계속 싸우겠다고 강조했다"며 네타냐후 총리 측의 비판이 사실이 아님을 강조했습니다.

갈란트 장관은 또 "군인자격으로 그리고 정부의 일원으로 나는 이스라엘을 위해 48년간 일했다. 이스라엘군 등 안보 조직을 강화한다는 평생의 우선순위를 유지하며 앞으로 내 임무를 계속할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러면서 "도전받는 날들을 맞아 우리는 강력한 방어와 공격을 해야 한다. 우리의 임무는 이스라엘 국민을 보호하고 적을 해치는 데 집중하는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이스라엘군 남부 사령관 출신으로 강직한 성격의 갈란트는 네타냐후 총리의 선택을 받아 국방부 장관이 됐지만, 극우파에 휘둘리는 총리를 향해 쓴소리를 아끼지 않았고 때론 정면으로 충돌했습니다.

지난해 5월에는 네타냐후 총리가 주도하는 우파 연정의 사법부 무력화 입법을 공개적으로 비난했습니다.

당시 네타냐후 총리는 갈란트 장관을 해고하겠다고 발표했으나, 이후 반정부 시위가 거세지자 철회했습니다.

갈란트 장관은 또 지난 5월엔 이스라엘의 전후 가자지구 통치에 반대한다고 발언하기도 했으며, 전시내각 회의에서도 전후 가자지구 계획 등을 둘러싸고 네타냐후 총리와 갈등했습니다.

이스라엘은 지난달 30일 레바논 수도 베이루트를 공습해 헤즈볼라 최고위 지휘관 푸아드 슈크르를 살해했습니다.

이튿날에는 이란 수도 테헤란에서 팔레스타인 무장정파 최고 정치지도자 이스마일 하니예가 암살당했습니다.

이에 헤즈볼라는 즉각 보복을 공언했고 이란도 하니예 암살 주체로 이스라엘을 지목하고 보복을 다짐했습니다.

하지만 12일이 지났지만, 아직 이스라엘에 대한 본격적인 보복 공격을 감행하지는 않은 상태입니다.

(사진=AP, 연합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