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공의가 수련 기관으로 대도시 대형병원을 주로 택하는 가운데, 이들을 지역 공공의료 기관에 일정 기간 수련 보내 지역 사회에 대한 경험치를 높여야 한다는 주장이 나왔습니다.
이종태 한국의과대학·의학전문대학원협회(KAMC) 정책연구소장은 어제(27일) 오후 국회입법조사처에서 열린 '의대생 교육과 전공의 수련 개선과제' 간담회에서 발제자로 나서 이같이 말했습니다.
이 소장은 "미국과 일본 등 다른 나라는 전공의 양성 시스템을 빠르게 바꾸고 있는데, 우리나라 의학 교육은 오래된 틀을 유지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그는 "우리는 임상의사 양성은 잘하고 있지만, 사회에서 요구해 오던 지역사회 의료 강화는 충분히 준비하지 못했다"며 "사회적 책무성을 강화할 수 있게 국내 의료교육 시스템 전반을 바꿔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미국 등 외국의 경우 지역사회 의료기관에 의대생을 보내 임상실습을 하는 교육 프로그램이 활성화돼 있지만, 우리나라는 거의 없다는 얘기입니다.
보건복지부에서는 지난해부터 이런 취지의 '전공의 공동수련 시범사업'을 운영하고 있지만, 전체 의대를 대상으로 하거나 필수로 운영되지는 않습니다.
이 소장은 "지역사회에서 의료 경험을 하면 소외 계층에 대한 관심이 늘고 향후 졸업생이 (자연스럽게) 지역사회에 정착하게 할 수도 있다"며 "지역 필수의사 부족 문제도 해결할 수 있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의대 증원을 놓고 정부와 의료계 간 갈등 국면이 끝나지 않는 것을 두고도 국내에 의료인력 계획을 전담하는 상설 기구가 필요하다고 주장했습니다.
이 소장은 "우리나라는 거버넌스 구조가 낙후돼 있고 그래서 이번에도 매우 시끄럽게 된 것"이라며 "미국 등은 거버넌스에서 전문가들이 충분히 논의해 (의대 정원을) 늘려왔다"고 말했습니다.
그는 "(현재 우리나라 논의 구조에서는) 의료계가 아무리 이야기해도 다른 방향으로 결정이 되고 있다"며 "의료계 대표가 과반수로 참여할 수 있는 거버넌스가 필요하다"고 강조했습니다.
이영미 고려대 의대 의학교육학교실 교수도 이날 발제자로 참여해 현재 의대 및 전공의 교육이 획일화돼 사회의 요구를 충족하기 어렵다고 비판했습니다.
이 교수는 전공의 교육 시스템에 대해 ▲ 값싼 노동력 ▲ 평가 부재 ▲지도 전문의에 대한 교육 인센티브 지급 불명확 ▲ 환자 쏠림 부담 등의 문제를 안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