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따뜻해진 바다'…물고기와 공생하는 딱총새우 국내서 첫 확인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 제주 서귀포시 연안에서 발견된 호랑무늬딱총새우

바다 모랫바닥에 굴을 파 집을 짓고 '무주택' 물고기한테 먹이를 '임대료'로 받으면서 공생하는 딱총새우가 제주 연안에 사는 것이 확인됐습니다.

열대·아열대 바다에 사는 종이어서 우리나라 바다가 따뜻해졌다는 또 다른 증거가 될 수도 있겠습니다.

국립생물자원관은 전북대 박진호 교수와 함께 지난해 11월 제주 서귀포시 섶섬 연안 수심 15m 지점 모랫바닥에 딱총새우 20여 마리 이상이 서식하는 것을 발견해 표본을 확보한 뒤 동정(생물종을 확인하는 작업)을 거쳐 이 딱총새우들이 국내 미기록종인 '알페우스 벨루루스(Alpheus bellulus)' 종임을 확인했다고 오늘(21일) 밝혔습니다.

미기록종은 우리나라 밖에는 서식하는 것이 알려진 종이나 우리나라에서는 발견된 적이 없어 기록이나 보고가 없는 종을 말합니다.

연구진은 알페우스 벨루루스의 국명(우리나라 내에서 사용되는 표준 명칭)을 '호랑무늬딱총새우'로 정하고 연내 학계에 보고할 예정입니다.

호랑무늬딱총새우는 지난 2018년부터 서귀포시 연안에서 관찰됐으나 위협을 느끼면 재빨리 내부가 복잡한 굴로 피해 동정 파악이 이뤄지지 못하다가 이번에 정확한 종이 확인됐습니다.

호랑무늬딱총새우는 이번 발견 당시 '붉은동갈새우붙이망둑'와 '청황문절'이라는 물고기와 함께 지내고 있었습니다.

망둑어는 호랑무늬딱총새우와 서로에게 이득을 주는 '상리공생' 중이었습니다.

호랑무늬딱총새우는 모랫바닥에 굴을 파서 집으로 쓰는데 이 집을 망둑어와 함께 쓰면서 망둑어의 배설물을 먹이로 삼습니다.

또 호랑무늬딱총새우 굴 입구가 모래나 조개껍데기에 막히지 않도록 상시 보수작업을 벌이는데 이때 망둑어가 경비를 서줍니다.

망둑어가 먼저 집에서 나와 포식자가 없는 안전한 상황임을 확인한 뒤 꼬리로 물 흐름을 일으켜 호랑무늬딱총새우에게 신호를 보내면 호랑무늬딱총새우가 굴 밖으로 나와 수리를 시작합니다.

호랑무늬딱총새우는 보수작업 중에는 망둑어 몸에 더듬이를 대고 망둑어가 보내는 위험신호를 감지합니다.

청황문절은 '세입자'라기 보다는 '피난민'에 가까웠습니다.

청황문절은 위협을 느끼면 바위 밑이나 굴로 숨는 습성이 있어 호랑무늬딱총새우가 판 굴을 피난처로 사용한 것으로 분석됐습니다.

청황문절은 위협을 느껴도 이를 호랑무늬딱총새우에게 알려주는 '상호작용'을 하지 않아 공생으로 보기는 무리가 있다는 것이 연구진 설명입니다.

국내에 딱총새우가 없지는 않았습니다.

26종의 딱총새우가 국내에 서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다만 다른 물고기와 공생하는 종이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입니다.

호랑무늬딱총새우는 원래 일본 남부 연안 등 열대·아열대 바다에서 삽니다.

위도상으로는 부산보다 북쪽인 일본 연안에도 호랑무늬딱총새우가 살기는 하지만 난류에 영향받는 일본 연안이 우리나라 연안보다 수온이 높습니다.

이 때문에 호랑무늬딱총새우가 서귀포시 연안에서 확인된 것도 우리나라 바다가 따뜻해졌음을 보여주는 증거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보입니다.

다만 연구진은 서귀포시 연안에서 호랑무늬딱총새우가 '간헐적'으로 관찰되고 있어 수온 상승으로 이 지역에 완전히 정착한 것인지에 대해서는 추가 모니터링이 필요하다고 설명했습니다.

(사진=국립생물자원관 제공, 연합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