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한국, 혼인 건수부터 10년 새 40% 줄었다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위 사진은 기사 내용과 관련이 없습니다.

최근 10년 새 혼인 건수가 40%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통상 결혼해야 출산하는 우리나라 현실에서 출산의 전제부터 흔들리고 있는 셈입니다.

통계청의 '2023년 12월 인구동향'과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해 혼인 건수(잠정치)는 19만3천673건이었습니다.

이는 10년 전인 2013년(32만2천807건)보다 40.0% 감소한 수치입니다.

혼인 건수가 큰 폭으로 줄어든 것은 결혼에 대한 인식 변화가 이유로 꼽힙니다.

통계청 사회조사에 따르면 13세 이상 인구 중 '결혼을 반드시 해야 한다'고 응답한 비율은 2012년 20.3%에서 2022년 15.3%로 감소했습니다.

'결혼하는 것이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42.4%에서 34.8%로 감소하는 등 결혼에 대한 긍정적 인식은 줄었습니다.

같은 기간 '결혼을 해도 좋고 하지 않아도 좋다'고 응답한 비율은 33.6%에서 43.2%까지 늘었습니다.

주거 마련 등 경제적인 이유도 결혼의 장벽이 되고 있습니다.

결혼하지 않은 이유에 대해 2022년 20대의 32.7%, 30대의 33.7%, 40대의 23.8%가 '혼수비용·주거 마련 등 결혼자금이 부족해서'를 꼽아 가장 많았습니다.

다음으로 20대(19.3%)와 40대(15.4%)는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가 많았습니다.

30대는 '결혼하고 싶은 상대를 만나지 못해서'(14.2%)와 '결혼의 필요성을 느끼지 못해서'(14.2%)가 두 번째로 많았습니다.

혼인 건수의 감소는 출생아 수가 줄어드는 데 영향을 미치고 있습니다.

출생아 수는 2013년 43만6천455명에서 지난해 23만 명으로 47.3% 줄었습니다.

'딩크족'(맞벌이면서 자녀가 없는 부부) 등의 영향으로 같은 기간 혼인 건수보다 더 가파른 감소세를 보인 것으로 분석됩니다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인 합계출산율은 지난해 0.72명으로 역대 최저치를 갈아치웠습니다.

통계청이 장래인구추계에서 전망한 올해 합계출산율은 0.68명(중위 시나리오 기준)입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