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영상

[자막뉴스] "주문 받았다가 취소"…하루가 다르게 뛰는 가격


동영상 표시하기

서울의 한 주유소.

경고등이 들어온 차량에만 요소수를 한 통씩 판다고 써 붙였습니다.

[최말식/화물차 운전자 : 여기서도 한 통 이상은 또 팔지를 않아요. 지금 한 통 싣고 다녀요]

[이경환/트럭 운전자 : (요소수) 미리 사놨죠. 언제 어떻게 떨어질지 모르니까.]

이렇게 불안감이 확산하는 가운데 가격은 하루가 다르게 뛰고 있습니다.

[A 주유소 : 지금 얼마예요? (10리터) 2만 4천 원입니다. (근데 여기 보니까 1리터에 950원이라고 쓰여 있던데?) 그거는 전에, 전에 팔 적에 그랬는데.]

[B 주유소 : 현금으로 2만 원이요 (많이 없어요? 요소수가?) 네, 계속 올라요.]

온라인 쇼핑몰에서는 저렴한 가격대는 동난 지 오래고, 배송 지연에 9만 원대 제품까지 눈에 띕니다.

[요소수 인터넷 판매자 : 만날 만날 오른 가격이 달라요. 굉장히 난감해요. 이 가격에는 못 판다 싶으면 주문받아놓고도 대부분 취소합니다.]

일주일 새 3번째 점검 회의를 연 정부는 3개월 이상의 요소 재고를 확보한 상태라며, 현재 6천t인 공공 비축 물량을 2배로 늘리기로 했습니다.

중국보다 비싸 업체들이 꺼려온 중동 등 제3국 수입을 유인할 지원책도 내놨습니다.

[장영진/산업통상자원부 1차관 : 다른 지역에서 (수입해) 오는 부분에 경제적인 조금 부담이 덜 해지도록 그런 대책을 강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2년 전 '요소수 대란' 이후 중국에 대한 요소 의존도가 오히려 높아졌는데, 정부 대책은 달라진 것이 없는 상황입니다.

중국은 이미 갈륨과 게르마늄, 희토류, 흑연 등 반도체와 이차전지 등 첨단 산업에 쓰이는 핵심 광물 수출을 엄격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핵심 원자재의 중국 의존도가 절대적인 우리로서는 중국이 자원을 무기화할 경우 속수무책인데, 정부는 여전히 뾰족한 해법을 내놓지 못하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뉴스영상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