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친절한 경제] "일단 '3만 원' 챙기고 시작"…절세하고 지역 돕고 선물 받는 법은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친절한 경제, 이번 주도 권애리 기자와 함께 합니다. 권 기자, 올해가 가기 전에 하지 않으면 해가 지나도 못하는 절세 방법, 지난주 이어서 2탄이네요. 어서 전해주시죠.

<기자>

올해 처음 도입된 제도가 하나 있거든요. '고향사랑기부금'이라고, 혹시 들어보셨나요?

<앵커>

예, 들어보기는 했습니다.

<기자>

잘 모르신다는 얘기시죠?

앵커뿐만 아니라 아직 모르는 분들이 훨씬 더 많은 제도라서, 내용을 잘 모르셔서 오늘(4일) 가져와 봤는데요.

이게 은근히 쏠쏠합니다.

올해가 가기 전에 챙겨놓으면 일단 3만 원을 챙길 수 있는 제도입니다.

올해 안에 지금 살고 있는 지역 말고 고향에 기부하면요, 절세와 고향이 주는 답례품을 동시에 챙길 수 있거든요.

그런데 여기서 아니 내가 아예 아무것도 기부하지 않으면 돈이 그냥 굳는 거 아니냐 하실 수 있겠는데요.

일단 연간 10만 원까지는 내가 무조건 이득인 게요, 기부금 10만 원까지는 세액공제 100%이기 때문입니다.

내가 고향에 기부금을 10만 원 내도 어차피 내가 내야 하는 세금에서 10만 원을 고스란히 깎아주기 때문에 사실상 내 지갑에서 나간 돈이 없는 거나 마찬가지가 됩니다.

내가 올해에 대해서는 더 낼 세금이 아예 없다, 이런 분만 아니라면 고향에 10만 원 기부해도 내가 쓰는 돈은 사실상 없는 거죠.

그런 데다가 내가 기부한 돈의 30% 한도 안에서 답례품을 받게 됩니다.

그러니까 10만 원을 기부하면요, 내가 쓰는 돈은 없고 3만 원 한도 안에서 답례품을 벌게 되는 겁니다.

<앵커>

이 기부를 해보고 싶어도, 내 고향을 어디로 해야 할지 고민인 분들이 계실 것 같습니다. 한 가지 중요한 게, 여기서 말하는 고향이 내가 태어난 동네를 말하는 건 아니라고요?

<기자>

지금 내 거주지만 아니면 어디든 고향으로 칠 수 있습니다. 주민등록에 적힌 지역만 아니면 됩니다.

이를테면 내가 서울 양천구에 산다 그러면 강서구에 기부해도 되냐, 그건 안 됩니다. 내 주민등록증에 서울이 적혀 있기 때문입니다.

광역단체까지 포함해서 내가 사는 곳 말고 다른 어떤 지역이든 기부지로 선택할 수 있습니다.

그러니까 사실 답례품이 좀 마음에 드는데 아니면 내가 잘 놀러 가는데 이런 데 골라서 해도 되는 겁니다.

답례품 중에 지역상품권도 있거든요. 내가 잘 가는 데 상품권을 받아놓으면 나중에 현금처럼 쓸 수 있겠죠.

지금까지 말씀드린 대로 내 지갑에서 사실상 나가는 돈이 한 푼도 없도록 10만 원만 딱 기부해도 되지만 물론 10만 원 넘게 하셔도 됩니다.

한도는 500만 원까지입니다. 10만 원 초과부터는 세액공제가 16.5% 적용됩니다.

그러니까 이때부터는 내가 돈을 쓰는 거긴 한데요.

답례품을 말씀드린 대로 기부금의 30% 한도 안에서 주기 때문에 각 지역별 답례품 훑어보시고 이걸 이 값에 준다면 어느 정도 돈을 써도 괜찮겠다 싶은 곳에 기부하셔도 됩니다.

이 제도는 일본에서 시행하는 제도를 참고해서 올해부터 도입한 건데요.

지역 특산품에 대한 수요를 창출하는 효과가 있다는 점까지 지역에 대한 일종의 이중후원의 의미도 있습니다.

단, 법인 명의로 기부할 수 없고요.

내가 이해관계로 얽혀있는 지자체에도 기부할 수 없습니다.

<앵커>

기부하는 방법도 자세히 설명해 주시죠.

<기자>

지금 검색창에 고향사랑이음이라고 치시면 바로 나옵니다. 정식 명칭은 밑에 있는 대로 '이' 자가 알파벳입니다.

여기 가입해서 기부하고 답례품 고르실 수 있고요.

지역별 답례품이 뭐가 있는지는 가입 안 하셔도 먼저 훑어보실 수 있습니다.

내가 기부한 지역의 답례품만 받을 수 있는 겁니다. 말씀드린 대로 지역상품권도 있습니다.

내 기부금에 대해서 답례포인트를 받아서 그 포인트로만 이 답례품들을 살 수 있게 돼 있습니다.

그리고 가까운 농협 지점에 직접 가서 신청하실 수도 있고요.

내가 기부했다는 건 국세청에 자동으로 전달되기 때문에 나중에 따로 영수증을 챙길 필요도 없습니다.

참고로 양경숙 의원이 행정안전부로부터 지난 10월까지 올해 지역별로 기부금이 얼마나 들어왔는지 제출받은 자료를 보면요.

일단 여기 지금까지 참여한 사람이 17만 명 정도고요, 경북과 경남은 각각 40억 원과 35억 원 정도 기부를 받았습니다.

그 외에 20억 원이 넘는 기부금이 들어온 다른 광역단체는 강원과 충남뿐입니다.

경상도 출신 인구가 많기도 하고 아직 이 제도를 아는 사람이 많지 않은 데다가 인천과 몇몇 지자체들의 자료가 아직 제공되지 않은 탓도 있을 텐데요.

내년 2월 말에는 모든 지자체가 기부금 내역을 투명하게 공개해야 합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친절한 경제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