급매물 소진에 서울 아파트값 하락 폭 다시 둔화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최근 급매물이 소진되면서 서울 아파트값 하락 폭이 다시 둔화했습니다.

한국부동산원은 이번 주 서울 아파트값은 0.11% 내려 지난주보다 하락 폭이 축소했다고 밝혔습니다.

서울 아파트값은 연초 대대적인 규제지역 해제 등으로 7주 연속 하락 폭이 줄어들다가 지난주에 전주와 동일한 내림 폭인 -0.13%를 기록하며 낙폭 축소가 멈칫했으나, 한 주 만에 다시 하락 폭이 줄어들었습니다.

전문가들은 지난달 공시가격이 크게 하락하며 보유세 부담이 줄고, 시중은행의 담보대출 금리가 최하 3%대에 진입하는 등 실질 금리가 내려가면서 매도자들이 급매물을 거둬들인 영향이 크다고 보고 있습니다.

특히 지난해 아파트값 하락 폭이 컸던 송파, 강동구 등지의 대단지 아파트에서는 실거래가도 상승 흐름을 보이면서 낙폭을 줄이고 있습니다.

구별로 송파구의 아파트값이 0.02% 올라 3월 첫 주 0.03% 이후 5주 만에 다시 상승 전환했습니다.

송파구 잠실 엘스 전용면적 84.8㎡는 지난 2월까지 19억 원대 매물이 모두 소진되고 3월 이후에는 21억 5천만∼21억 6천만 원 선에 매도가 이뤄지고 있습니다.

잠실 트리지움 전용 84.95㎡도 최근 17억∼18억 원대 매물이 소진된 후 이달 8일에는 20억 3천만 원에 거래되며 20억 원대를 회복했습니다.

동작구의 아파트값도 0.01% 올랐습니다.

동작구 아파트값이 상승 전환한 것은 지난해 6월 첫 주 이후 10개월 만에 처음입니다.

부동산원 관계자는 "동작구는 상도동과 노량진동 소형 위주로 매매가가 상승했다"며 "장기 저리 대출이 가능한 특례보금자리론 인기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시도별 아파트 주간 매매가격지수 변동률

강남구 아파트값은 지난주 -0.10%에서 이번 주 -0.01%로 하락 폭이 크게 감소했고, 강동구도 지난주 -0.07%에서 이번 주 -0.05%로 낙폭이 둔화했습니다.

이에 비해 노원구(-0.13%)와 서대문(-0.18%), 구로구(-0.18%) 등지는 지난주보다 하락 폭이 커졌습니다.

경기도와 인천은 각각 0.22%, 0.07% 하락해 지난주 대비 하락 폭이 눈에 띄게 줄었습니다.

용인 반도체 특수를 누리고 있는 처인구 아파트값이 0.19% 올라 3주 연속 상승세를 이어갔습니다.

수도권 아파트값은 지난주 -0.25%에서 이번 주 -0.17%로, 전국 아파트값은 -0.22%에서 -0.17%로 하락 폭이 줄었습니다.

전세시장도 최근 급전세들이 일부 소화되면서 가격 하락 폭이 줄어들고 있습니다.

서울 아파트 전셋값은 이번 주 0.2% 떨어져 지난주보다 낙폭이 0.04% 포인트 줄었고, 전국은 0.24% 내려 지난주보다 0.01% 포인트 감소했습니다.

(사진=한국부동산원 제공, 연합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부동산 정책 · 시장 동향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