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브스프리미엄

[스프] 과학이 열어주는 그 모든 문 밖의 가능성들을 위해

[예언자들] 연재를 마무리하며


오프라인 - SBS 뉴스

<예언자들>을 사랑해 주신 독자들께. 

안녕하세요 저는 <예언자들>을 기획한 SBS 정혜경 기자입니다. <예언자들>은 각 분야에서 연구 중인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들이 특정 시점을 전제로 미래를 예측해 쓰는 가상의 에세이를 담은 코너로, 지난해 11월 김승겸 교수의 <

수직 메트로폴리스

>를 시작으로 매주 수요일마다 연재됐습니다. 카이스트에서 선정한 각 분야 최일선 총 스무 명의 교수진이 현재 연구 성과와 미래 실현 가능성을 고려해 길게는 100년, 짧게는 10년 앞으로 다가온 '개연성 있는 미래'의 모습을 전했습니다. 

어쩌면 지금 우리가 살고 있는 매일을 고민했을 100년 전, 10년 전 과학자들의 고민을 지금 우리 세대 과학자들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지금은 우리의 일이 아니라고 여겨져도 언젠가 숨 쉬는 것처럼 당연한 '생활'이 되어있을 과학의 '생얼'은 어떤 모습일까를 상상하면서요. 그들만의 이야기가 아니라 우리의 이야기가 되기 위해 필요했던 건 '미래'라는 시제였습니다. 

본격 연재에 앞서 직접 만나 인터뷰한 참여 필진들은 실제 본인들이 구현할 수 있는 세상에 대해 확고한 믿음을 가진 탐구자들이었습니다. 에세이는 때로 유토피아기도, 디스토피아기도 했지만 모든 글이 지금 현재의 우리가 미래의 모습을 바꿀 수 있다는 낙관을 품고 있습니다. 지금 우리가 감각하고 예지할 수 있는 내 주변과 사회의 '문제'들이 곧 우리의 미래 모습과 직결될 수 있다는 걸 코너 기획자로서도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

딥페이크 기술이 진실과 거짓을 분간하기 어려울 정도로 발달한 미래에도 정치와, 선거제도는 존재할 것이며(

20년 뒤 대통령 후보자 A의 하루

), 폭발의 예비 징후들이 거듭 언급되고 있는 백두산 화산 이후 삶을 예비할 필요 역시 언젠가 대두될지도 모릅니다(

할머니의 내 집 마련 꿈을 풀어준 지하 '집 열쇠'

).

현재도 일어나고 있지만 잘 알려지지 않은 보안 기술의 허점 때문에 많은 세계인들을 비탄에 빠뜨릴 제3차 세계대전의 가능성이 상존하고(

2032년! 자율주행 아니라 '안티' 자율주행이 필요하다니

), 자율주행 기술의 발달로 운전을 하지 않아도 되는 편의는 얻었을지라도 이제 그 시간까지 노동에 할애해야 하는 굴레에 빠지게 될 수도 있습니다(

2040년 나의 이동은 어떻게 변화할 것인가

). 

늘 새로운 기록을 갈아치우며 전 인류에게 엄습해 오는 기후변화의 시대에 접어들었지만 그럼에도 우리의 삶은 이어질 것이고(

점점 북쪽으로 내몰리는 2050년의 인류

), 그 환경에 적응하기 위해 우리의 주거 형태도 매우 다른 모습으로 바뀔지도 모릅니다(

수직 메트로폴리스

).

하지만 데이터 예측 기술로 미처 지금의 우리가 발견하지 못한 사회 문제를 확인해 해결할 수 있는 따뜻한 미래의 모습도 있습니다(

나는 오늘, 낫을 든 사람을 만나러 간다

). 침습적 방식이 아닌 날숨에서 미래의 내가 걸릴 질병을 파악해 내는 간편한 세상이 도래하면(

킁킁.. 냄새 맡으면 무슨 병에 걸렸는지 알 수 있다?

), 부족한 신체 기능을 보완해 줄 로봇 옷을 입은 채(

'오늘은 무슨 로봇 입을까' 2043년 아침의 고민

), 여껏 질병의 예방과 치료에 쏟았던 시간과 비용을 AI 베이스, 보컬 연주자와 함께 밴드 합주를 하는 데 쓸 수도 있겠죠(

캐나다 휘슬러 스키장에 있을 남편에게

). 

아카데미 7관왕에 오른 영화 '에브리씽 에브리웨어 올앳원스'는 우리 세계의 주인공 '에블린'이 미처 몰랐던 무한우주 속 자신의 가능성을 발견하고, 각각의 실마리로부터 무한히 뻗어나간 가능성의 세계 속에 있는 자신의 존재로부터 힘을 얻어 우주의 균형을 깨뜨리고자 하는 적에 맞서 싸우는 이야기입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스브스프리미엄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