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브스프리미엄

'과학자의 반란'은 올바른 판단이 될 수 있을까

목적은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나


뉴스페퍼민트 NewsPeppermint

"한국에는 없지만, 한국인에게 필요한 뉴스"를 엄선해 전하는 외신 큐레이션 매체 '뉴스페퍼민트'입니다. 뉴스페퍼민트는 스프에서 뉴욕타임스 칼럼을 번역하고, 그 배경과 맥락에 관한 자세한 해설을 함께 제공합니다. 그동안 미국을 비롯해 한국 밖의 사건, 소식, 논의를 열심히 읽고 풀어 전달해 온 경험을 살려, 먼 곳에서 일어난 일이라도 쉽고 재밌게 읽을 수 있도록 부지런히 글을 쓰겠습니다. (글: 이효석 뉴스페퍼민트 대표)

오프라인 - SBS 뉴스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을까요? 이 문제는 인류가 영원히 풀지 못할 숙제일 겁니다. 정당화라는 단어는 이 목적이 선한 종류의 목적인 반면 수단은 바람직하지 않은 행동임을 암시합니다. 예를 들어 아픈 배우자를 살리기 위해 약방의 문을 부수는 것이나 강도에게 쫓기는 친구를 숨겨주기 위해 거짓말을 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습니다. 이런 상황에서 사람들은 대체로 목적이 얼마나 가치 있느냐, 또 수단이 얼마나 무도한가에 따라 답을 내리고 생각을 바꿀 겁니다.

철학적으로 이는 칸트의 의무론과 벤담 등의 목적론으로 구별할 수 있습니다. 칸트는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없다고 말했고, 벤담과 밀의 공리주의는 결과를 통해 행위를 판단하므로 목적이 수단을 정당화할 수 있다고 말한 셈입니다.

고등학교 윤리 교과서에나 나올 이런 이야기를 꺼낸 것은 바로, 이 질문을 떠올리게 하는 사건 때문입니다. 지난 10일 뉴욕타임스에는 학회에서 동료 과학자들에게 기후변화를 위한 행동에 나서달라고 호소했다가 자신이 속한 연구소에서 해고당한 지구과학자 로즈 아브라모프의 글이 실렸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뉴욕타임스 칼럼 보기: 기후변화에 대응 촉구했다가 해고당한 과학자 이야기

목적에는 동의하지만, 수단에 이견

아브라모프는 지난달 열린 미국 지구물리학회에서 모든 참가자가 모이는 점심 세션에서 회의장 앞으로 나가 나사(NASA) 제트추진연구소에서 일하는 피터 칼무스와 함께 “실험실에서 나와 거리로 나갑시다“라는 플래카드를 들었습니다.

아브라모프의 이러한 행동의 목적은 매우 분명합니다. 아브라모프는 기후변화가 매우 심각하며, 지금 당장 정치인과 시민들을 설득하여 획기적인 정책의 변화를 끌어내지 않으면 인류가 재앙을 피하지 못할 거라고 믿고 있습니다. 동료 피터 칼무스도 칼럼의

댓글

에 이대로 간다면 이번 세기 안에 수십억 명이 사망할 수도 있다고 썼습니다. 아브라모프 역시 이렇게 생각하고 있을 겁니다. 실제로 기후변화가 매우 심각하다는 데는 많은 과학자가 동의하고 있으며, 정도의 차이는 있을지언정 이를 위해 무언가를 해야 한다는 데도 이견이 거의 없어 보입니다. 아브라모프와 칼무스는 이를 위해 다소 과격한 방법을 동원해서라도 사람들에게 경각심을 심어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 것입니다.

그럼, 그들이 사용한 수단은 어떨까요? 여기서 아브라모프의 예상과 실제 세상의 반응은 달랐습니다. 아브라모프는 무대에서 끌려 내려오고, 점심 세션에서 쫓겨나는 정도를 예상했습니다. 하지만 학회는 이를 훨씬 더 심각하게 받아들였습니다. 학회 기간 중 예정된 그들의 발표를 취소시켰고, 학회 차원의 징계를 고려하고 있습니다. 심지어 아브라모프가 속한 연구소는 연구소 규정을 근거로 들어 그를 해고했습니다.

학회는 아마도 두 과학자의 행동이 행사의 원활한 진행을 방해했다고 판단했을 겁니다. 실제로 일반적인 학회에서 이런 일은 잘 일어나지 않습니다. 학회는 회원인 과학자의 목적과 무관하게 이러한 행동, 곧 학회 참석자들의 주의를 끌기 위해 예정에 없는 무언가를 주장하는 행동에 대해 엄정하게 대응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기후변화 대응이 아니라, 전쟁 반대나 육식 금지를 주장하는 이들에게도 같은 정도로 대했을 것입니다. 다시 말해 이런 행동을 강력히 제지하지 않는다면 학회를 정상적으로 진행하기 어렵다고 판단했을 수 있습니다.

과학자와 운동가는 달라야

학회가 또 다른 측면을 고려했을 수도 있습니다. 저는 일전에 이와 비슷한 일을 두고 과학자와 운동가를 구별하여 이야기한 일이 있습니다. 곧 운동가는 자신의 목적을 위해 수단을 가리지 않는 반면, 과학자는 자신의 연구 과정에서 목적을 가져서는 안 된다는 것입니다. 이는 과학자의 연구 과정에 포함된, 이론을 세우고 데이터를 수집, 해석하는 과정이 매우 주관적이기 때문에 어떤 편향이나 바람이 존재하면, 그 연구 결과를 믿을 수 없게 되기 때문입니다.

학회는 지구과학을 연구하는 이들이 적어도 자신의 연구에 있어 정치적 입장을 떠나 공평무사한 태도를 가지기를 원했을 수 있습니다. 물론 ‘기후변화에 대한 태도’가 학문적 결론인지 정치적 문제인지를 판단하는 것부터 정치적인 문제이긴 합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보러가기'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해당 주소를 주소창에 옮겨 붙여서 보세요.

댓글
댓글 표시하기
스브스프리미엄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