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항체 양성률 98.6%…10명 중 7명 자연 감염 항체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국민 항체양성률 조사에서 조사 대상 대부분이 항체를 가졌고 10명 중 7명은 자연감염에 의한 항체를 보유한 걸로 나타났습니다.

질병관리청과 국립보건연구원은 지난해 12월 7일부터 22일까지 7천528명을 대상으로 시행한 '지역사회 기반 대표표본 코로나19 항체양성률 2차 조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코로나 항체양성률 (사진=연합뉴스)

자연감염과 백신 접종으로 생성되는 S 항체 양성률은 98.6%로 지난 8월 1차 조사 때의 97.6%와 비슷한 것으로 집계됐습니다.

자연감염에 의해서만 만들어지는 N 항체 양성률은 70%로 1차 조사 때의 57.2%보다 12.8% 늘었습니다.

방역 당국은 이 수치가 같은 기간 확진자 누적 발생률 51.5%보다 18.5%p 더 높다며, 지역사회에 미확진 감염자가 일부 있다는 사실이 확인됐다고 설명했습니다.

미확진 감염 규모는 항체가 조사를 시행한 캐나다, 영국 등에 비해 매우 낮은 수준으로, 우리나라가 검사에 대한 접근성이 높고 방역관리가 상대적으로 잘 이루어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고 덧붙였습니다.

연령대별로 차이가 있었는데 특히 백신 접종률이 낮은 소아청소년층에서 자연감염 항체양성률이 높았고 접종률이 높은 고 연령층으로 갈수록 감염에 의한 항체 양성률은 낮았습니다.

방역 당국은 전체 항체양성률이 높다는 것이 개인의 방어력이 높다는 뜻이 아니며, 백신접종과 감염 후 생성된 항체는 3개월이 지나면 대폭 줄어든다고 설명했습니다.

또, 항체 역가가 낮을수록 감염 위험이 8배까지 높아지기 때문에 60대 이상을 포함한 고위험군은 동절기 추가 접종을 받아달라고 당부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코로나19 현황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