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브스프리미엄

[스프] 벼랑 끝에 몰린 북극 식물들, 어디로 가야 할까

북극에도 꽃이 핍니다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지구상에서 가장 북쪽과 남쪽 끝 극단적인 곳에서 극한 체험하면서 연구하는 '극적인 사람들'. 보통 사람들은 일생에 한 번 가기도 힘든 남극과 북극을 수시로 오가며 연구 활동을 펼치는 극지연구소 사람들과 스프의 콜라보 프로젝트! 기후 변화의 최전선에 있는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보세요!

오프라인 - SBS 뉴스

"북극" 하면 단번에 하얀 눈이 덮인 얼음 위를 돌아다니는 북극곰을 떠올리실 텐데요, 북극에도 사막과 초원, 습지와 호수, 강과 바다가 존재합니다. 어떤 사람은 눈 덮인 침엽수 사이로 산타할아버지가 사슴이 끄는 썰매 타고 달리는 장면을 떠올리는데, 사실은 북극에는 이렇게 키 큰 나무가 없습니다. 북극은 그런 나무가 자라지 않는 툰드라거든요.

남극도 툰드라지만 북극과 사뭇 다릅니다. 일단 남극은 대부분이 얼음에 덮여있고 식물도 다양하지 않아요. 남극엔 꽃이 피는 식물이 단 두 종류만 살고 있답니다. 북극은 남극보다 식물에 훨씬 관대해서 3,000여 종의 식물이 자라고 있고 그중 2,000여 종이 꽃을 피우는 식물입니다. 이 중에는 다른 곳에는 살지 않고 고산지대나 북극에서만 사는 고유한 식물도 있어요.

그런데 기후변화로 북극 식물은 엄청난 도전에 직면해 있답니다. 기온이 높아지다 보니 나무들이 점점 올라오고 있어요. 툰드라가 더 이상 툰드라가 아닌 거죠. 북극 툰드라 식물과 새롭게 파고드는 식물들과 경쟁하며 동시에 가파르게 올라가는 기온에 맞춰 적응해야 합니다. 여기서 적응하지 못하고 경쟁에 밀리면 더 이상 갈 곳이 없답니다. 북극의 끝에는 북극해만 있기 때문이죠. 실제로 우리나라 다산과학기지가 위치한 스발바르의 경우 200여 종의 식물 중에서 48종이 멸종위기종에 이름이 올라 있습니다. 다섯 종의 식물 중 하나는 이미 사라져 가고 있는 겁니다.

북극에도, 백두산에서도 살고 있는 식물들
오프라인 - SBS 뉴스
나도수영
오프라인 - SBS 뉴스
씨눈바위취

스발바르에 사는 식물 중에 나도수영이나 씨눈바위취, 담자리꽃나무처럼 예전부터 우리나라에 살고 있는 식물도 있습니다. 하지만 백두산이나 북부 산간지대에서 살고 있어 지금은 이들 식물을 직접 볼 수는 없어 아쉽습니다. 언젠가 다시 길이 열리면 우리나라 고산 식물과 북극 식물을 비교해 보고 싶습니다. 그러면 아마 이들이 북극 식물과 어떤 관계에 있는지 알 수 있을 것입니다. 시베리아 어딘가에 살던 식물이 일부는 동남쪽으로 내려와 백두산 산자락에 터를 잡고, 일부는 서북쪽으로 올라가 스발바르까지 간 건 아닐까요?

오프라인 - SBS 뉴스
담자리꽃나무

백두산에서도 살고 있는 담자리꽃나무는 빙하기를 꿋꿋하게 견뎌낸 관목입니다. 여덟 장의 흰색 꽃잎이 노란 수술을 감싸고 있는 담자리꽃나무는 해바라기처럼 꽃이 해를 향해 방향을 바꾸죠. 해를 바라봐서 그런지 꽃 안쪽은 식물의 다른 부위보다 온도가 살짝 높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보러가기' 버튼이 눌리지 않으면 해당 주소를 주소창에 옮겨 붙여서 보실 수 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스브스프리미엄
기사 표시하기
신음하는 지구, 위기의 인류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