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머 Q&A l 아는 게 힘이다

[비머Q&A] 1천 채 '빌라왕'의 죽음…보증보험 가입 세입자도 떨고 있는 황당한 현실


동영상 표시하기

수도권 전세사기 혐의로 수사선상에 놓였던 40대 임대업자가 지난 10월 갑자기 사망합니다. 수백 명의 전세보증금이 증발한 상태. 하지만 세입자들은 제대로 하소연할 곳조차 없습니다. 어떻게 된 일일까요.

수도권에만 1천여 채의 빌라와 오피스텔을 갖고 있던 이른바 '빌라왕'. 40대 김 모 씨는 지난 10월 12일, 서울 종로의 한 호텔에서 숨졌습니다. 300여 명의 전세보증금을 가로챈 전세사기 혐의로 수사가 착수된 상태였습니다. 김 씨가 천 채 넘는 집을 갖게 된 건 이른바 무자본 갭투자. 내 돈 하나 없이 남의 돈인 전세보증금으로 집을 사고, 또 그 집을 세놓는, 돌려막기 방식으로 소유 주택이 무차별적으로 늘어온 겁니다. 김 씨가 빌라를 매입하고 임대한 건 최근 3년 동안에 집중돼 있습니다. 워낙 단기간이고, 집값과 전세금이 계속 오르던 초기엔 문제가 두드러지지 않았습니다.

하지만, 부동산 시장이 냉각되면서 김 씨에게 전세금을 돌려받지 못하는 세입자들이 속출하기 시작한 상황에 김 씨가 사망한 겁니다. 포털에 개설된 김 씨의 피해 세입자 카페 가입자만 450명이 넘지만, 이분들의 보증금 상당액은 사실상 증발한 상탭니다. 집주인이 사망하면, 상속인이 세입자 보증금도 돌려줘야 하죠. 그런데 김 씨는 지난해에 내지 못한 세금만 60억 원이 넘어 이미 갖고 있던 집들이 압류됐습니다. 상속인인 부모는 주택도시보증공사, HUG와도 접촉이 잘 안되고 있습니다. 안 그래도 집값이 떨어지고 있는 시장에서, 압류된 주택이 경매로 더욱 헐값에 팔려도, 무조건 1순위로 청산돼야 하는 세금을 나라가 추징하고 나면 수백 명 세입자들에게 돌아갈 전세보증금은 얼마나 줄어들어 있을지, 가늠이 안 되는 상황입니다. 

김 씨의 피해 세입자 중에는 HUG의 전세금보증보험을 든 사람만도 400명이 넘긴 합니다. 안전장치라고 생각해 보험료를 감당하기로 하고, 보험에 들고 세입자가 된 겁니다. 하지만, 이분들도 막막하긴 마찬가집니다. 전세금을 달라고 HUG, 측에 요청하려면, 먼저! 집주인과 계약 해지를 하게 돼 있습니다. 이사도 못 갑니다. 계약 해지가 안 된 채로 집을 비우면, 내 전세금이 후순위로 밀려나서 언제 받을지 기약이 없습니다.

그런데, 집주인은 사망하고, 상속인이 나오지 않고 있는 이 경우에는, 세입자들이 계약을 해지해 달라고 할 상대가 없는 겁니다. 지금 규정으로는 주택도시보증공사가 이 상태에서 전세금을 돌려줄 의무가 없습니다. 김 씨의 상속인이 끝까지 결정되지 않으면 법원이 상속 재산 관리인을 지정할 겁니다. 비로소 김 씨의 1천 채 넘는 빌라들이 정리되기 시작하겠지만, 얼마나 긴 시간이 걸릴지, 얼마가 남아 있을지 모릅니다.

문제는 현행 보증보험이 노출한 구멍뿐만이 아닙니다. 김 씨가 세금을 체납하고 전세 사기 의혹을 받기 시작하면서도 김 씨의 부동산 거래는 계속 이어졌습니다. 김 씨 명의의 빌라를 전세 계약하면서 보증보험을 신청하지 않은 세입자들은 이런 상황을 꿈에도 몰랐던 분도 있을 것이고, 최근에, 김 씨 집에 세들기 위해 보증보험을 가입하려 한 사람은 가입을 거부당함으로써 아 뭔가 이 집에 이상한 게 있구나 느낄 수는 있었겠지만요. 정확히 어떤 이유로 가입이 거부되는지, HUG는 원칙적으로 알려주지 못하게 돼 있습니다.

3년밖에 안 되는 시간 동안 1천 채가량의 집을 집중적으로 사고팔고 빌려주는 행위. 김 씨 혼자 한 일이 아니다, 배후에 조직적인 전세사기가 있다는 의혹까지 제기되고 있는 상황입니다. 사기범, 빌라왕의 존재도 존재지만, 더 큰 문제는 빌라왕들이 계속해서 등장하며 이렇게 비정상적인 부동산거래를 계속할 수 있는 우리 시장의 허점일 겁니다.

( 기획 : 김도균 / 영상취재 : 이승환 / 편집 : 김복형 / 디자인 : 채지우 / 제작 : D콘텐츠기획부 )

댓글
댓글 표시하기
비머 Q&A l 아는 게 힘이다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