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감 몰아주기' SPC 압수수색…고발 2년 만에 수사 속도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제빵공장에서 일하던 노동자가 숨진 걸 비롯해 산재 사고가 잇따른 SPC 그룹 계열사들을 검찰이 압수수색했습니다. 2년 전 공정거래위원회가 고발한 계열사 부당 지원 혐의 등에 대해 이제야 강제 수사를 시작한 건데, 허영인 회장 사무실도 압수수색 대상에 포함됐습니다.

보도에 김관진 기자입니다.

<기자>

계열사 20대 노동자가 기계에 끼여 사망하고 또 다른 계열사에서는 작업 도중 손가락 절단 사고까지 난 SPC 그룹.

[허영인/SPC그룹 회장 (지난달 21일) : 그룹 전반의 안전관리 시스템을 철저히 재점검하고, 안전경영을 대폭 강화하도록 하겠습니다.]

회장이 사과까지 했지만, 계열사 직원이 현장감독에 나선 근로감독관 서류를 몰래 촬영해 상부에 보고하는 일까지 벌어졌습니다.

잇단 산재로 경찰과 고용노동부 조사를 받는 SPC 그룹에 오늘(8일)은 검찰이 들이닥쳤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허영인 회장의 사무실을 포함한 SPC그룹 서울 본사와 삼립 등 계열사 사무실 여러 곳이 압수수색을 당했습니다.

SPC 계열사들이 오랜 기간 다른 계열사 삼립을 부당 지원해 414억 원의 이익을 몰아줬다며, 공정위가 600억 원대 과징금을 부과하고, 경영진과 법인을 검찰에 고발한 지 2년 만에 강제 수사에 들어간 겁니다.

공정위는 SPC 그룹이 삼립 매출을 늘려 주식 가치를 높인 뒤, 허 회장 두 아들이 보유한 삼립 주식을 그룹 지주회사 격인 파리크라상에 현물 출자하거나, 파리크라상 주식으로 교환해 지분을 높이려 한 것으로 의심했습니다.

계열사끼리 밀가루나 계란 같은 재료를 살 때 삼립을 끼워 넣어 통행세를 몰아줬다는 공정위 조사 결과도 검찰이 다시 들여다보고 있습니다.

SPC는 공정위 과징금 결정에 불복해 취소 청구 소송을 낸 상황인데, 잇단 산재로 허술한 안전관리 실태가 드러난 데 이어 검찰 수사로 위법한 경영실태가 드러날지 주목됩니다.

(영상편집 : 남 일)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