만 13세부터 형사처벌…"흉포화에 불가피" vs "전과자만 양산"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만 10살부터 14살까지는 범죄를 저질러도 형사처벌을 받지 않습니다. 촉법소년으로 부르기도 하는데 법무부가 만 13살로 한 살 낮추는 법 개정을 추진하기로 했습니다.

박찬근 기자가 보도합니다.

<기자>

새벽 금은방에서 귀금속을 훔치는 두 사람.

이 중 한 명은 만 13세 촉법소년입니다.

결국, 검거됐는데 스무 살 성인인 총책이 경찰에 붙잡히면 촉법소년임을 내세워 진술을 거부하라고 교육한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늘어나는 촉법소년 범죄에 법무부가 만 14세를 넘겨야 가능했던 형사처벌을 만 13세 이상부터 가능하게끔 법을 바꾸기로 했습니다.

보호처분을 받는 촉법소년이 13세부터 급격히 늘어나 14세와 큰 차이가 없단 점을 근거로 들었습니다.

[한동훈/법무부 장관 : 아무리 중한 범죄를 저지르더라도 최장 2년의 소년원 송치 처분으로 종결돼서 국민의 법 감정과 현실에 맞지 않는다는 지적이 있었습니다.]

12세로 낮추자는 윤석열 대통령 공약에서 한 살 물러선 안이지만, 우려 목소리도 적지 않습니다.

국가인권위는 형사미성년자 기준 연령을 낮춰도 소년범죄 예방과 재범 방지 효과를 낸다는 객관적 근거가 없는 만큼 현행 14세 유지 의견을 냈습니다.

[곽대경/동국대 경찰사법학과 교수 : 굉장히 쉬운 선택일 수는 있는데 실제로 근본적인 해결책이라고 보기는 어렵다는 거죠. 개별적인 선도와 교육 프로그램을 보다 더 확충을 하고….]

미성년 전과자를 양산할 수 있단 우려에 법무부는 형사처벌은 강력 범죄에 국한돼 크게 늘지는 않을 걸로 예측했지만, 교화와 선도 중심의 소년보호 제도 보완이 먼저란 목소리도 적지 않아 법안 논의에도 치열한 논쟁이 이어질 걸로 보입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