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교 데이터센터 화재로 재난 대응 부실 논란까지 불거진 카카오와 계열사들 주가가 오늘(17일) 장 초반 급락했습니다.
오늘 오전 9시 5분쯤 유가증권시장에서 카카오는 8.85% 하락한 4만 6천8500원에 거래되고 있습니다.
시초가는 전 거래일보다 6%가량 하락한 4만 8천 원에 형성됐습니다.
코스닥 종목인 카카오게임즈(-7.19%), 유가증권시장에 상장한 카카오페이(-8.73%), 카카오뱅크(-8.29%)도 전 거래일과 비교해 7∼8%대 급락했습니다.
카카오게임즈를 제외한 카카오, 카카오뱅크, 카카오페이 등 3개 사는 모두 개장 직후 52주 신저가를 기록했습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 거래일인 이달 14일 총 39조 1천660억 원이었던 카카오 계열사들의 시가총액은 오늘 개장 이후 10분 만에 3조 4천761억 원이 감소해 35조 6천899억 원으로 줄었습니다.
화재가 난 판교 데이터센터 운영 책임이 있는 SK 주식회사 C&C의 지주사인 SK 주가도 장 초반 전 거래일보다 5.83% 하락한 19만 4천 원에 거래 중입니다.
앞서 15일 오후 3시 30분쯤 경기도 성남시 판교 SK C&C 데이터센터에서 화재가 발생해 카카오톡과 포털 '다음'을 비롯한 다수 카카오 서비스와 네이버의 일부 서비스, SK 관계사의 홈페이지 등에서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전국민이 이용하는 카카오톡 메시지 수발신은 어제(16일) 오후 5시쯤 정상화됐습니다.
증권사들은 이번 사태로 '재난 대응 부실' 논란까지 불거진 카카오에 대해 단기적으로 주가에 영향이 불가피하다고 짚었습니다.
오동환 삼성증권 연구원은 보고서에서 "(카카오톡) 송수신 중단은 10시간 정도였으나 16일까지 비즈보드 광고 판매가 중단됐고 모빌리티와 선물하기, 페이지 등도 1∼2일 분량의 매출이 발생하지 못했다"며 "4분기 매출 최대 1∼2%가 감소하는 효과가 나타날 수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안재민 NH투자증권 연구원도 "정확한 규모를 예측하기는 이르지만 카카오의 대부분 서비스가 멈췄다는 점에서 카카오 국내 사업의 전체 일매출인 약 150억 원 이상이 감소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된다"면서 카카오톡 유저 이탈, 택시·대리운전·선물하기 등 서비스 중단으로 인한 매출 감소, 브랜드 이미지 하락 등에 대한 우려가 있다고 분석했습니다.
유진투자증권은 "전 국민이 이번 사태로 인해 불편함을 겪었고 카카오의 다양한 플랫폼 서비스의 브랜드 프리미엄이 퇴색됐다"며 카카오 목표주가를 10만 6천 원에서 6만 5천 원으로 내렸고, 한국투자증권도 카카오 목표주가를 10만 원에서 8만 원으로 하향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