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포리자 원전 예비 전력선 복구 이어 주 전력선 1개 복구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러시아와 우크라이나의 교전 속 피해가 잇따랐던 자포리자 원자력발전소에서 냉각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할 예비 전력선이 복구된 데 이어 주 전력선도 복구되기 시작했습니다.

이에 따라 원자로 과열로 방사성 물질이 누출될 우려도 한층 줄어들게 됐습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17일(현지시간) 성명을 통해 "자포리자 원전의 주 전력선 4개 중 1개가 복구돼서 우크라이나 전력망으로부터 원전으로 전력 공급이 재개됐다"고 밝혔습니다.

또한 "3개의 예비 전력선은 다시 예비 상태로 돌아가게 됐다"고 덧붙였습니다.

다만, 4개 주 전력선 중 이번에 복구된 1개를 제외한 나머지 3개는 아직 기능을 하지 못하고 있습니다.

앞서 IAEA는 지난 13일 예비 전력선 3개를 모두 복구하는 등 원전 냉각 시스템을 안정화하는 동시에 방사성 물질 누출 우려를 크게 줄였습니다.

원전은 원자로와 사용 후 연료를 냉각할 전력을 필요로 하는데, 이를 위한 전력이 제대로 공급되지 않을 경우 원자로 과열로 핵연료봉 다발이 녹는 노심용융(멜트다운)이 발생하고 방사성 물질이 누출되는 중대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현재 자포리자 원전의 6개 원자로는 포격 피해 우려로 가동을 멈춘 상태입니다.

마지막까지 가동하던 원자로 6호기도 안전을 위해 '냉온 정지'(cold shutdown) 상태로 전환한 채 운전을 멈췄습니다.

이런 상황에서도 원전 시설에서 최소한의 안전 기능을 수행하는 데 전력이 필요한데, 최근 예비 전력선에 이어 이번에 주 전력선까지 복구되기 시작하면서 더욱 안정적인 전력 공급이 가능하게 됐습니다.

IAEA는 추가 포격으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자포리자 원전 일대를 비무장 안전구역으로 만드는 방안에 대해 러시아·우크라이나와 협의를 진행 중입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러시아, 우크라이나 침공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