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재자 아들' 마르코스, 필리핀 대통령 사실상 당선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필리핀 대선 후보자

필리핀을 철권통치한 독재자의 아들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64) 전 상원의원의 차기 대통령 당선이 사실상 확실시됩니다.

현지 ABS-CBN 방송은 어젯(9일)밤 10시32분 기준으로 대선 후보인 마르코스 전 상원의원이 2천407만 표를 얻어 경쟁자인 레니 로브레도 부통령의 1천144만 표를 크게 앞선 것으로 비공식 집계됐다고 보도했습니다.

개표율이 73.9%인 상황에서 두 후보의 득표 격차가 배가 넘게 벌어진 것이어서 마르코스의 당선이 사실상 굳어진 것으로 보입니다.

마르코스 후보는 지난 1965년부터 1986년까지 장기집권한 독재자인 페르디난드 마르코스 전 대통령의 아들로 아버지의 이름을 그대로 물려받았습니다.

특히 정권을 잡은 뒤 7년이 지난 1972년부터 1981년까지 계엄령을 선포해 수천 명의 반대파를 체포해 고문하고 살해하면서 독재자로서 악명을 떨쳤습니다.

이에 시민들이 1986년 '피플 파워'를 일으켜 항거하자 하야한 뒤 하와이로 망명해 3년 후 사망했습니다.

이후 아들 마르코스는 1990년대에 필리핀으로 돌아와 가문의 정치적 고향인 북부 일로코스노르테주에서 주지사와 상원의원에 선출됐습니다.

광고 영역

또 지난 2016년에는 부통령 선거에 나왔다가 이번 대선에서 맞붙은 로브레도(57) 현 부통령에게 근소한 차이로 패한 바 있습니다.

부통령 선거는 마르코스와 러닝 메이트를 이룬 로드리고 두테르테 대통령의 딸 사라(43) 다바오 시장의 당선이 유력합니다.

사라 후보는 2천388만 표를 얻어 721만 표를 획득한 프란시스 팡길리난 상원의원을 3배가 넘는 차이로 앞서고 있습니다.

필리핀 정계는 마르코스의 대선 승리의 가장 큰 요인 중 하나로 사라와의 러닝메이트 구성을 꼽고 있습니다.

마스코스는 사라와 '원팀'을 이루면서 집권당인 PDP라반의 리더이자 현직 대통령인 두테르테의 정치적 영향력과 기반을 토대로 지지층을 넓히는데 성공한 것으로 분석됩니다.

마르코스 독재 정권 치하에서 자행된 고문과 살해 등 암울한 과거에 대한 기억이 잊혀지고 있는 점도 마르코스 당선 배경 중 하나입니다.

필리핀국립대 정치학부 교수인 하이메 나발은 "마르코스를 지지하는 30대 이하의 젊은 층은 그의 선친 치하에서 부패와 인권탄압을 겪지 않았다"면서 "따라서 이들은 과거의 상황을 제대로 알지 못할 뿐 아니라 미화되고 왜곡된 이야기에 노출돼왔다"고 분석했습니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