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앵커>
2년 전 대구·경북 지역을 중심으로 코로나 확진자가 확 늘어났을 때 대구에 생활치료센터가 처음으로 문을 열었습니다.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환자들이 지내던 생활치료센터는 한때 전국에 1만 개 넘는 병상이 가동됐었는데, 최근 재택치료를 받는 환자가 늘면서 이제는 센터 대부분이 비어 있습니다. 그래서 정부가 일부만 남겨놓고 대부분 운영을 중단하기로 했습니다.
박재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
<기자>
경기도 고양시의 한 기업 연수원입니다.
지난 1년 3개월간 생활치료센터였던 이곳은 지난 3일 문을 닫았습니다.
다녀간 확진자는 5천여 명에 이릅니다.
방역과 보수 절차를 거쳐 다시 연수원으로 쓰입니다.
경기도는 이달 말까지 생활치료센터 11곳 중 5곳의 운영을 중단합니다.
강원도도 센터 3곳 중 2곳은 문을 닫았고, 남은 한 곳도 10%만 사용하고 있습니다.
[생활치료센터 관계자 : 입소율이 적어서 중지하고 한 개소만 운영하고 있습니다. 생활치료센터에 입소할 대상자가 다 재택치료로 편성되다 보니까.]
재택치료가 원칙이 된 뒤 최근 센터에는 독거노인과 고시원 생활자 등이 격리돼왔습니다.
입소 대상자가 줄면서 전국 생활치료센터 89곳에서 이용 중인 병상은 오늘 기준으로 3천400여 개, 가동률이 17.6%까지 떨어졌습니다.
정부는 한두 달 내 대부분의 생활치료센터 운영을 중단할 방침입니다.
센터 한 곳에 의료진과 지자체 공무원, 경찰까지 최소 50명이 필요한데, 앞으로는 이 인력들을 고령층 재택치료자 등 고위험군 관리에 투입하겠다는 계획입니다.
[지자체 방역과 직원 : 거기 파견돼 있는 인력을 병원으로 복귀시켜서 재택치료에 투입하는 게 낫지 않을까 (하는 계획입니다.)]
점검할 부분도 적지 않습니다.
생활치료센터로 빌려 쓴 건물에 커튼과 벽지 등 손상된 부분을 배상해야 할 수도 있습니다.
생활치료센터 방역소독업체가 가짜 직원을 만들어 인건비 2억 원가량을 청구한 사건도 있었습니다.
방역당국은 재택치료가 어려운 계층을 위해 생활치료센터 몇 곳은 남기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김원배, 영상편집 : 박지인, CG : 전유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