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단독보도

[단독] 인터넷서 산 '신호기 키'…교통시설물 다 열린다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길에 사고가 났거나 차가 많이 밀릴 때는 경찰이 신호등이 바뀌는 간격을 조정하기도 합니다. 그렇게 신호를 바꾸는 장비를 아무나 건드리면 안 되니까 밖에 잠금장치를 해 놨는데, 그 열쇠가 버젓이 인터넷에서 팔리고 있습니다.

한소희 기자가 단독 취재했습니다.

<기자>

교통경찰들이 긴급 상황에 신속히 대응할 수 있도록 신호제어기 열쇠는 전국적으로 하나로 통일돼 있었습니다.

복제 가능성 등 보안 문제가 나오자 서울시는 2015년부터 다른 열쇠로 교체를 시작했습니다.

그러나 6년이 지난 지금, 서울 시내 제어기 4천400개 가운데 60%인 2천700여 개는 여전히 구형 열쇠를 씁니다.

그런데 이 열쇠와 똑같은 열쇠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버젓이 팔리고 있습니다.

이름까지 신호기 열쇠로 돼 있는데, 잠금장치를 포함해 1만 3천 원 정도면 누구나 살 수 있습니다.

[판매업자 : 공장 자체에서 신호기 키라고 이름 지어서 나오는 거고. 신호기 제어함에 들어가는 거 맞고요.]

제가 인터넷으로 주문한 신호기 열쇠가 도착했습니다. 

뜯어서 확인해보겠습니다.

교통신호라고 적힌 같은 열쇠가 들어 있습니다.

구매한 열쇠로 서울 시내 신호제어기들을 열어봤습니다.

모두 손쉽게 잠금이 풀립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제어기뿐만 아니라 교통 단속용 무인 장비함과 교통관리시스템 함도 열립니다.

특히 교통관리시스템 함 속엔 CCTV를 제어하는 장치 등 고가 장비가 들어 있습니다.

관리 책임이 있는 서울시는 이런 사실을 모르고 있습니다.

[서울시 관계자 : (인터넷에 판매도 하던데 이거를 좀 알고 계셨나요. 시에서?) 아니요 전에 알지는 못했고요.]

지난 2013년엔 40대 남성이 교차로 16곳의 신호제어기를 망가뜨려 일대 교통을 마비시키기도 했습니다.

[이승미/서울시의원 : 누군가가 악의적으로 이용한다면 대형 사고가 발생할 수도… 물리적 보완에 좀 더 신경을 써야 하는 상황입니다.]

서울시는 경찰과 함께 신호기 전용 열쇠가 어떻게 유통됐는지 경위를 조사하고 대책을 마련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영상편집 : 박기덕, VJ : 김형진)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단독보도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