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스페셜리스트

[더 스페셜리스트] '오징어게임' 대박이 정부 덕이다?


동영상 표시하기

오징어 게임 대박이 정부 덕이라고?

넷플릭스의 역대 흥행 기록을 모두 갈아치운 드라마 오징어 게임.

넷플릭스가 서비스되는 전 세계 83개국 모두에서 1위를 차지했습니다.

전 세계인들이 딱지치기, 달고나 뽑기를 따라 하는 것은 물론이고 오징어 게임 캐릭터 의상도 유행입니다.

방탄소년단, 영화 기생충, 그리고 오징어 게임까지, 한류 바람이 거세게 이어지고 있습니다.

[Chapter.1 Daebak(대박) K 업데이트]

한류, 영어로는 코리안 웨이브라는 말을 많이 썼는데요, 올해 아예 이 한류라는 단어 그대로 옥스퍼드 영어사전에 올랐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뜻은 우리가 생각하는 그대로입니다.

한류 말고도 많습니다.

2016년에 먼저 사전에 오른 K팝에 이어 올해는 K-드라마가 추가됐고, 한국을 뜻하는 접두어 K-도 추가됐습니다.

한복, 만화, 먹방, 치맥, 애교, 대박까지, 한국에서 유래된 단어가 30개 가까이 새로 실렸는데요, 한류 덕분에 올해 옥스퍼드 사전이 K-업데이트를 했다는 말까지 나올 정도였습니다.

[Chapter.2 대박이 정부 덕?]

이렇다 보니 한류가 왜 이렇게 인기인지, 그 이유를 분석하는 외신 기사들도 많이 나오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볼까요?

영국 유력 일간지 더 타임스의 기사입니다.

제목에 한류는 세계를 어떻게 정복했는가 라고 돼 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미국에서는 한국의 습격이라는 기사가 나왔고요, 프랑스에서도 역시 비슷한 제목의 기사가 나왔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그런데 내용을 보면 대부분 1990년대 말부터 한국 정부가 국가 이미지를 높이고 수출을 늘리기 위해 문화산업에 집중 투자해 온 게 한류 성공의 주요인이라고 분석합니다.

한국 경제가 수출주도 정책으로 한강의 기적을 이룬 것처럼 한류도 정부의 지원 정책 덕분에 성공했다, 이런 얘기인데요, 과연 문화라는 게 그렇게 되는 걸까요?

[홍석경/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한류 연구자) : (그런 논리라면) 중국 정부의 지원을 받은 중국 문화물이 제일 성공해야 하는 거 아닌가요 외국에서? 그렇지 않잖아요. 정부 주도적인 문화산업을 통해서 여기에 이르렀다고 얘기하는 건 한국의 문화적 능력을 정말 폄하하는 일입니다.]

문화산업 지원 정책을 한국만 유별나게 하는 것도 아닌데, 많은 외신들이 이렇게 쓰고 있는 데는 사실 우리 탓도 조금 있습니다.

한류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부족하거든요, 한류 팬들은 전 세계에서 엄청난 속도로 늘어나고 있는데 정작 한류를 키운 우리 안에서는 이 현상에 대한 연구가 부족했습니다.

그러다 보니 단편적인 과거 기사나 홍보자료에 의존해서 비슷한 얘기들이 반복되고 있는 겁니다.

[Chapter.3 무궁화 꽃이 (또) 피었습니다.]

한류는 1990년대 동아시아에서 방송 드라마를 중심으로 시작됐지만, 이후 인터넷 발전과 함께 전 세계에 자발적인 팬덤을 형성하기 시작했고요, 이제 넷플릭스 같은 글로벌 플랫폼을 만나서 글로벌 대중문화의 주요 흐름이 됐습니다.

민주화 이후 표현의 자유를 바탕으로 문화적 역량을 축적하고 디지털화·세계화 흐름에 성공적으로 올라탄 결과입니다.

[홍석경/서울대 언론정보학과 교수 : 한국이 선진국과 그렇지 않은 나라 두 진영 모두에서 보편적인 이야기를 할 수 있는 경험을 갖춘 나라이면서 실력을 갖추게 된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방탄소년단이 한국에서 여는 온라인 공연을 영국 일간지가 리뷰하고, 한국 드라마 신작을 전 세계에서 함께 시청하는 시대입니다.

한류를 학술적·체계적으로 뒷받침할 연구 인력과 인프라 확충이 시급한 이유입니다.

또 한류는 어느 날 갑자기 하늘에서 뚝 떨어진 선물이 아니라, 수많은 한국 대중문화 산업 종사자들과 팬들이 함께 일궈온 결실이라는 점을 기억하면 좋겠습니다.

(영상취재 : 이찬수·김남성, 영상편집 : 이승진, VJ : 오세관, CG : 심수현·서승현)

댓글
댓글 표시하기
더 스페셜리스트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