더 스페셜리스트

[더 스페셜리스트] 부스터샷 논쟁…진짜 필요할까?


동영상 표시하기

부스터샷 논쟁, 과연 파우치와 세계보건기구 중 누구 말이 맞을까요?

이걸 말하려면 먼저 돌파 감염이 뭔지 정확하게 짚고 넘어가야 합니다.

백신을 두 번 다 맞았는데도 델타 변이가 그걸 돌파해 감염시킨다고 해서 나온 이야기가 부스터 샷이기 때문입니다.

돌파 감염이란 바이러스가 항체를 뚫고 몸속으로 들어와 감염시키는 걸 말합니다.

지금은 얀센 한 번, 화이자·모더나는 두 번 맞고 2주가 지난 뒤에 또다시 코로나 검사 PCR에서 양성이 됐을 때를 돌파 감염이라 말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맞는 말 같죠? 하지만 엄밀히 말하면 틀렸습니다.

왜냐, PCR 검사로는 감염이 됐는지는 알 수 있는데 항체가 있는지 없는지 알 수 없기 때문입니다.

그 말은 항체가 돌파됐는지 안 됐는지 알 수 없다는 뜻입니다.

그렇다면 지금 돌파 감염으로 불리는 건 뭘까요?

지난달 영국 정부가 발표한 자료 보겠습니다.

델타 변이 감염자 22만 9,218명 조사했더니 무려 12.5%가 접종 완료자였습니다.

왜 그런가해서 봤더니 감염자 대부분이 중화항체가 매우 적은 걸로 나타났습니다.

항체가 뚫린 게 아니라 항체가 충분하지 않았던 사람이 걸렸던 겁니다.

결국 돌파 감염 대응에는 백신을 맞았냐보다 항체가 충분하게 생겼느냐가 더 중요한 겁니다.

그렇다면 중화항체 검사에서 부족한 사람만 맞으면 되는 것 아니냐 하실 텐데요.

맞는데, 지금은 안 됩니다.

항체 측정, 쉽게 할 수 있습니다.

지난번에 제가 방송에서 간단한 키트로 보여드릴 정도였으니까요.

오프라인 - SBS 뉴스

문제는 아직 중화항체에 대한 기준이 없다는 겁니다.

도대체 항체가 얼마나 생겨야 코로나로부터 안전한지 이걸 판단할 정확한 기준이 없기 때문에 측정해도 소용이 없는 겁니다.

나라들마다 이걸 정하느라고 한창인데 유럽 몇 개 국가는 정했고 우리나라와 미국은 아직 정하지 않았습니다.

시간이 지나면 해결될 일종의 공백기 상태인데 그렇다고 마냥 손 놓기 있기에는 델타 변이가 심상치 않습니다.

델타 변이로 돌파 감염된 환자를 봤더니 75%는 65세 이상이었습니다.

면역 저하 환자는 더 치명적인데, 예를 들어 장기 이식을 받은 사람은 돌파 감염 82배, 치명률은 485배나 높았습니다.

델타 변이가 약한 고리부터 뚫어가고 있는 겁니다.

다시 처음으로 돌아가겠습니다.

부스터 샷 필요할까요? 필요합니다.

하지만 모두에게 필요하지 않습니다.

부스터 샷은 65세 이상 고령자 또는 면역이 떨어지는 고위험군 그리고 백신을 일찍 맞아서 항체 유효기간이 다가온 의료진 중심으로 접종하면 충분합니다.

이렇게 부스터 샷으로 급한 불부터 끈 다음에 나중에 중화항체 기준 정해지면 항체가 부족한 사람들은 나이, 상태와 관계없이 또 맞으면 됩니다.

그러나 무엇보다 지금 가장 중요한 문제는 원활한 백신 공급입니다.

(영상취재 : 조춘동·김세경, 영상편집 : 이승희·원형희, CG : 심수현·강경림)

댓글
댓글 표시하기
더 스페셜리스트
기사 표시하기
코로나19 현황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