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법사위원장 양보' 내부 압박에 민주당 지도부 진땀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더불어민주당 지도부가 법사위원장 양보 논란 수습에 진땀을 흘리고 있습니다.

송영길 대표는 오늘(29일) 부산항만공사 방문을 마치고 기자들과 만나 "법사위 개혁 법안 통과를 전제로 법사위원장 양보가 합의됐다. 그게 안 되면 법사위 양보는 자동으로 무산된다"며 거듭 진화를 시도했습니다.

그러나 비슷한 시간 대권 주자인 추미애 전 법무부 장관은 국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국민이 볼 때 (법사위 양보는) 합의가 아니고 야합"이라며 "야합을 해놓고 합의를 존중해야 한다는 것은 개혁을 포기하겠다는 것"이라고 지도부를 정면 비판했습니다.

이어 "법사위가 게이트키퍼 역할을 못 하도록 국회법을 먼저 개정하고 다음 원내 지도부가 협상할 수 있는 것"이라며 "지금 원내 지도부가 괜히 긁어 부스럼을 만들었다"고 비난했습니다.

'조건부 존중' 입장을 취해온 정세균 전 총리도 오늘 CBS 라디오에 나와 "법사위 정상화가 이뤄지지 않은 상태에서 야권에 넘긴다고 하는 것은 아주 지혜롭지 못한 것"이라며 원내 지도부에 책임을 물었습니다.

강경파인 정청래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서 "윤호중 원내대표는 팩트를 왜곡하지 말라"며 "지난 의총에서 충분히 논의됐던 사안이라고? 법사위를 양도한다는 말은 일언반구, 반에 반자도 안 나왔다"며 추가 의총 개최를 요구했습니다.

반면 이낙연 전 대표는 오늘 KBS 라디오 인터뷰에서 "세 번째 합의사항인 법사위 권한 축소가 이행되지 않는다면 다른 합의사항도 무효가 된다. 그렇다면 불만이 있더라도 합의는 받아들여야 한다"며 윤 원내대표를 거들었습니다.

한준호 원내대변인은 정청래 의원의 주장에 대해 "문제 제기는 할 수 있지만 의총을 열 기준이 되는지는 봐야 한다"고 말했습니다.

(사진=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