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안위 '오염수 4대 질문'에 답변 못한 일본


오프라인 대표 이미지 - SBS 뉴스

한국 정부가 일본 측으로부터 4가지 핵심 정보를 달라고 요청했지만, 일본 정부가 답변 없이 무응답으로 일관한 것으로 확인됐습니다.

한 외교부 당국자는 오늘(13일) 기자들과 만나 "원자력안전위원회 전문가들이 일본으로부터 받아야 할 필수적 사안의 답변을 받지 못했다"며 이같이 밝혔습니다.

이 당국자에 따르면, 일본은 오염수를 원전 부지 내 탱크에서 바다로 옮기는 구체적인 처분 방식과 방류가 시작되는 정확한 시점, 총 방류 기간, 그리고 총 처분량 등 4가지에 대해 답변을 하지 않았습니다.

이 당국자는 "후쿠시마에서 해양 방출을 할 때 파이프를 통해서 바로 배출하는지 아니면 다른 지역을 우회하는지, 또 방출 시점은 약 2년이 소요된다고 했는데 정확히 2년 후 언제를 뜻하는지 물었다"며 "이 외에도 오염수를 정량 대비 압축해서 10년 안에 다 버릴건지, 아니면 조금 더 희석해서 30~40년을 두고 버리는 건지, 또 지금 보관하는 것 중 2년 후부터 버리게 될 총 처분량이 어떻게 되는지에 대해서 확인을 요청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그러나 "원안위에서 요청해서 외교부가 두 차례 일본 측에 확인을 해달라고 했지만, 이 4가지 부분에 대해서는 '자신들도 아직 정보가 충분하지 않다'는 말과 함께 답변을 받지 못했다"고 덧붙였습니다.

이 당국자는 그러면서 "가장 큰 문제점은 후쿠시마 원전사고가 여태 다른 사고와 달리 원자로 밑을 감싸는 벽이 깨지고 금이 가서 그 지하수가 오염되고 있다는 것"이라며 "이게 장기적으로 갈 것이고, 방출 자체도 정화 후 30년이 걸릴지 40년이 걸릴지 검증과 논의가 필요하다"고 말했습니다.

아울러 "한 두 번 정도 해양에 방류하는 건 과학적 분석과 조사가 있지만, 과연 희석해서 10년, 20년, 30년, 40년, 50년으로 간다면 이건 어떤 결과가 나올지 예단하기 어려운 것 아니겠느냐"며 "좀 더 검토하고 조사해봐야 하니, 그런 측면에서 정보가 부족하다고 일본 측에 얘기하고 있다"고 지적했습니다.

이 당국자는 또 "조금은 더 시간이 걸리고 우리와 정보를 공유하면서 이뤄질 수 있을 것으로 생각했는데 일본의 결정이 생각보다 조금 빠르고 갑작스러웠다"고 설명했습니다.

외교부는 오늘 아이보시 고이치 주한일본대사 초치 때도 정보 제공 문제를 중점적으로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