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와 싸우면서 금연까지…김정은 여전히 흡연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몇 달째 코로나 방역에 집중하고 있는 북한이, 요즘 주민들에게 금연을 주문하고 있습니다. 단순히 건강 때문이 아니라 코로나 방역과도 관계가 있는 것 같습니다.

김아영 기자입니다.

<기자>

코로나19 바이러스 전파 방식을 설명하는 북한 조선중앙TV 영상입니다.

[조선중앙TV : 공기졸(공기 중에 떠다니는 미립자)이 있는 비루스(바이러스)는 담배 연기처럼 흡입되게 됩니다.]

담배 연기 흡입에 빗대 감염 경로를 설명한 게 눈에 띄는데, 조선중앙통신도 흡연자들은 코로나19 감염 위험이 더 크다고 경고하기도 합니다.

북한이 지난달, 방역에 온 신경을 집중하는 와중에 금연법을 만든 것도 이런 우려와 무관치 않아 보입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흡연을 단순히 주민 건강 차원이 아닌 방역차원의 문제로 보는 겁니다.

금연 정책이 얼마나 효과가 있을지는 아직은 미지수입니다.

담배 통제법이 이미 있는데도 북한 남성 두 명 중 한 명가량 흡연자일 만큼 북한 사회는 담배에 관대한 편입니다.

조선중앙TV도 수년 전부터 금연을 강조해 왔지만, 효과는 크지 않아 보입니다.

[조선중앙TV (2016년 방송) ; 아주머니들이 말하는 거를 남자들이 귀담아듣지 않는단 말입니다. 아, 요만한 담배, 요것 하나 제때 못 끊는단 말입니까?]

최고지도자인 김정은 위원장이 금연에 동참하지 않고 있는 점도 정책 효과를 반감시키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북한이 금연법을 만든 이후인 지난달 29일 정치국 확대회의에서도 김 위원장은 담배를 피웠습니다.

마스크 착용도 예외인 김 위원장, 금연법에도 예외일 가능성이 크지만, 코로나 위험 강조하며 금연 외친 북한 당국의 선전은 무색해질 수밖에 없습니다.

(영상편집 : 이승열)

댓글
댓글 표시하기
코로나19 현황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