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뛰는 집값, 나는 수수료…뭐 하나 안 비싼 게 없네"


동영상 표시하기

[SBS 이철희의 정치쇼] 숫자를 통해 세상을 보는 <여론 123>

■ 방송 : SBS 이철희의 정치쇼 (FM 103.5 MHz 9:05 ~ 11:00)

■ 진행 : 이철희 지식디자인연구소 소장

■ 방송일시 : 2020년 12월 4일(금)

■ 출연 : 박해성 티브릿지 대표

'뛰는 집값, 나는 수수료' 부동산 중개수수료 이야기인가요.

'주택 중개서비스, 문제점 및 개선방안'을 주제로 국민권익위원회가 지난달 2일부터 13일까지 설문조사를 실시했습니다. 이번 설문에는 총 2,478명이 참여했는데 공인중개사와 일반국민 비율이 각 50% 정도씩이었습니다.

조사 결과 응답자의 53%는 중개료 부담이 과하다고 답했습니다. 이에 대해 권익위는 부동산 매매가와 전세가가 치솟으면서 중개보수도 크게 올라 부담을 느끼는 소비자들이 많아진 것이라고 분석했습니다. 또 부동산중개 소비자이든 중개업자이든 현행 중개수수료를 개선하자는 의견이 높았습니다. 권익위는 의견수렴 결과를 토대로 9억이상 거래구간에 적용되는 최고요율 현행 0.9%의 인하 현행 중개업으로 한정된 법정 중개서비스의 범위 확대 단일요율제 및 정액제 방식 등을 검토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한국공인중개사협회에 따르면 서울시의 경우 중개수수료 상한요율은 매매의 경우 거래금액 5000만원 미만은 0.6%, 5000만원 이상에서 2억원 미만은 0.5%, 2억원 이상~6억원 미만은 0.4%, 6억원 이상~9억원 미만은 0.5%. 9억원 이상은 상한요율 0.9% 이내에서 중개 의뢰인과 공인중개사가 협의해 결정하게 돼 있습니다.

최근 집값 폭등으로 서울 아파트 중위가격은 10억원에 육박하는데 응답자들은 얼마 정도가 적정하다고 생각하나요.

응답자 절반이 국민주택 규모인 85㎡ 아파트의 적정가격은 3억∼6억원 사이라고 대답했습니다. 47%는 6억원∼9억원이 적절하다고 답했습니다. 서울지역 기준입니다.

참고로 KB부동산 리브온이 발표한 주택가격동향에 따르면 11월 60~85㎡짜리 서울 중소형 아파트 평균매매가격은 9억720만원, 85~102㎡는 11억 3,900만원이라고 합니다. 시민들 정서와 실제 집값차이에 괴리가 상당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그럼 내년 상반기 집값이 오를지, 떨어질지…전망과 관련된 조사도 있었나요.

부동산114가 11월 9일부터 23일까지 전국 1,439명을 대상으로 '2021년 상반기 주택 시장 전망'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열에 일곱명 이상이 매매가, 전세가 모두 상승 할 것 이라고 예상했습니다. 반면, 하락 할 것이라는 전망은 전체 응답자의 5~7%에 그쳤습니다.

매매가가 상승 할 것이라는 전망의 가장 큰 이유로 수도권 아파트가격 상승이라는 답변 46%, 서울 도심의 공급부족 28%, 그 외 덜 오른 지역에 대한 풍선효과(16%), 내년 상반기 국내경기가 회복 될 것이기 때문이라는 응답이 있었습니다.

내년 상반기 부동산 시장의 주요변수가 뭐가 될 것 같으냐고 물었더니 정부의 부동산 규제정책이라는 응답이 27%, 국내외 경제여건이라는 응답이 18%, 뒤를 이어 전세가격 흐름(16%), 0%대 기준금리에 따른 유동성 효과(13%), 3기 신도시 등 공급 확대(13%)라는 응답이 뒤를 이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부동산 정책 · 시장 동향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