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딱

[뉴스딱] 수도꼭지에 라이터 대자 불 '화르르'…무슨 일?


동영상 표시하기

[고현준의 뉴스딱]

<앵커>

시사평론가 고현준의 뉴스딱 시간입니다. 첫 소식 어떤 것인가요?

<고현준/시사평론가>

중국에서 있었던 일인데요, 저도 글로만 보고는 믿기 어려운 일이 벌어졌습니다.

중국의 한 마을에 수돗물에 불이 붙는 현상이 발생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세면대 위에 불이 활활 타오르는 모습인데요, 수돗물이 흘러나오는 곳에 라이터를 가까이 대자 불꽃이 일어납니다.

중국 랴오닝성에 있는 한 마을 주민이 자신의 집 수돗물에 불을 붙일 수 있다며 온라인에 올린 영상인데요, 수도꼭지를 돌렸을 때 기체가 나오고 그때 라이터를 갖다 대면 불이 붙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이 주민은 손을 씻을 때 항상 깨끗이 씻기지 않는 것 같았다며 마을에 있는 100여 가구가 모두 그렇고 3~4년 정도 됐다고 호소했습니다.

지난 여름 현지 수도회사에 문제를 제기했지만 회사 측은 관할할 사안이 아니라고 해서 아직 자세한 원인도 알지 못하는 상황이라고 합니다.

일각에서는 이 지역이 석유 저장구 북쪽에 있는 만큼 저장유 표면의 가스가 수돗물에 섞였을 수 있다는 추측이 제기됐습니다.

당국은 논란이 커지자 합동조사팀을 꾸려서 검사 중이라면서 해당 지역의 상수도 저장고와 주민용 상수도관 사용을 중지하고 다른 곳의 물을 끌어와서 임시로 주민들에게 공급했다고 밝혔습니다.

<앵커>

저렇게 불이 붙을 정도면 냄새도 조금 났을 것 같은데요, 석유 냄새가 됐든, 가스 냄새가 됐든, 저걸 3~4년 동안 썼다는 것도 사실 좀 놀랍네요. 다음 소식 전해주시죠.

<고현준/시사평론가>

오늘(24일) 두 번째 소식입니다. 길고양이들에게 밥을 주면서 돌봐주는 사람 캣맘, 캣대디 이렇게 부르는데요, 이런 캣맘, 캣대디들과 지역주민들의 갈등이 끊이지 않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최근 수도권에 있는 한 초등학교에 붙은 안내문입니다.

학교 화단과 운동장 등에 고양이 배설물 때문에 학생들의 위생이 염려된다며 학교 안에서 길고양이 밥을 주지 말아 달라는 내용입니다.

이런 안내문은 해당 학교뿐 아니라 일부 주거단지나 공원에서도 종종 볼 수 있습니다.

몰려든 고양이들의 울음소리 등 소음이 발생하고, 영역 다툼을 하다가 주차된 차를 긁거나 쓰레기봉투를 훼손하기도 한다는 것입니다.

사료를 담은 비닐봉지가 그대로 버려지는 것도 문제로 꼽힙니다.

이 때문에 길고양이에게 밥을 주는 것을 반대하는 사람들은 밥을 줄 거면 집에 데려가서 주든가, 배설물과 쓰레기도 깨끗이 치워야 한다고 지적을 합니다.

반면 캣맘, 캣대디들은 고양이는 영역동물이라서 한 자리에서 밥을 줘야 하고, 또 생명을 지키는 일이라며 맞서고 있는데요.

지자체들이 길고양이 개체 수 감축을 위해서 중성화 수술과 급식소 마련 등의 노력을 하고 있지만 이런 갈등을 줄이기에는 어려운 상황입니다.

<앵커>

사실 참 어려운 문제죠. 지자체나 학교 같은 곳에서 여기는 좀 주지 말아 달라 하는 곳에 일단 좀 피해야 하는 것이 맞는 것 같고요, 나머지는 주민들과 좀 소통을 해 봐야 될 것 같습니다. 다음 소식은요?

<고현준/시사평론가>

멀티플렉스 극장들이 관람료를 줄줄이 인상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습니다.

지난달에 CGV가 영화 관람료를 올린 데 이어서 메가박스가 관람료를 평균 1천 원 올렸습니다.

롯데시네마 역시 다음 달 관람료 인상 계획을 밝힌 바 있는데요, 극장들은 코로나19 장기화로 인한 어려움, 고정비용 증가 등으로 어쩔 수 없는 결정이었다고 하지만 관객들의 반응은 차갑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앞서 극장들은 지난 2018년 마블 영화 '어벤져스: 인피니티 워' 개봉을 앞두고 관람료를 올렸었는데요.

당시 흥행이 예상되는 블록버스터 개봉을 앞두고 인상을 단행했다며 상황이 좋을 때도, 나쁠 때도 관람료를 인상한다고 비판했습니다.

1천 원 단위 인상도 논란입니다.

과거 카드 사용이 많지 않았던 시절 현장에서 티켓을 구매할 때 빠른 결제를 위해 잔돈이 없는 1천 원 단위로 정한 것이 관행처럼 굳어졌다는 것입니다.

극장을 비롯해서 영화계가 적극적으로 나서서 관람료 인상 근거를 소비자들에게 쉽게, 피부에 와 닿게 알릴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뉴스딱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