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으면 '쓰레기 신세'…동물 장례식장은 혐오 낙인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이와 함께 또 하나 생각해 볼 문제가 반려동물이 세상을 떠났을 때, 그 뒤에 어떻게 해야 하냐는 겁니다. 반려동물은 땅에 묻는 게 불법이라서 화장시설을 만들어야 한다는 목소리가 요즘 커지고 있는데 그 역시 지역 주민들이 반대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계속해서 유수환 기자입니다.

<기자>

1백여 명의 주민들이 동물 화장터를 반대하는 손팻말을 들고 시위를 벌입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지난해 대구에서는 지역사회에서 처음 추진하던 동물 화장장 설립이 무산됐습니다.

2년간 이어진 주민 반대를 넘지 못한 겁니다.

경기 광주의 이 반려동물 장례식장은 6년 전 문을 열기 위해 재판까지 거쳤습니다.

찾는 사람은 늘고 있지만 혐오 시설이라는 편견을 넘기가 쉽지 않았습니다.

[반려동물 장묘시설 대표 : 처음에는 플래카드 엄청 붙고 난리가 났었는데, 실제 (시설을) 보고는 민원이 줄었어요. 동네 회의할 때도 제가 몇 시간 동안 (참여해서) 회의를 했었거든요.]

천만 반려동물 시대를 맞아 1년에 죽는 반려동물이 70만 마리에 가깝습니다.

현행법상 동물 사체는 생활폐기물로 분류돼 쓰레기 종량제 봉투에 담아 버리는 건 허용되지만, 땅에 묻는 건 금지돼 있습니다.

가족 같았던 개와 고양이를 의미 있게 떠나보내려는 장례 수요는 늘고 있지만, 현실을 그렇지 못합니다.

정식 등록된 동물 장묘시설은 전국에 51곳뿐. 이마저도 21곳이 경기도에만 집중돼 있습니다.

[이형주/동물복지 연구소어웨어 대표 : 반려동물 수에 비해 사실 장묘업체는 굉장히 적은 수준이거든요. 동물시설은 혐오 시설이라고 보는 인식을 조금 개선하려는 노력이 필요해 보여요.]

동물 화장시설이 주민 반대를 피해 외진 곳에 세워지다 보니 이동식 무허가 화장업체가 판치는 부작용까지 생기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동률, 영상편집 : 장현기)

---

Q. 반려동물 시설을 반대하는 사람들의 가장 큰 이유는?

[유수환 기자 : 이제 반려동물 관련 시설, 필요한 것도 맞고 짓는 것도 찬성을 하는데 내 집 앞에는 안 된다는 게 핵심입니다. 지난해 부산시에서 여론조사를 진행을 했는데 응답자의 80%가 반려견 놀이 시설을 짓는 데 찬성을 했다고 합니다. 그런데 정작 내 집 앞에 짓겠다고 하면 악취나 소음 또 이런 안전이 우려되는 겁니다. 그렇다고 지자체가 또 일방적으로 밀어붙이면 갈등만 커질 뿐입니다. 추진 초기부터 공청회나 또 주민들이 만든 자발적인 의사 결정 기구에서 의견 차이를 좁히는 게 필요합니다. 또 이제 전문가들은 장묘시설을 만들 때 주민 편의시설을 같이 복합 공간으로 만드는 것도 하나의 지혜라고 조언했습니다.]

Q. 동물 화장장 갈등, 공존에 성공한 비결은?

[유수환 기자 : 결국 중요한 건 끊임없는 대화랑 신뢰 형성 과정이었습니다. 저희가 경기도에 있는 한 화장장을 다녀왔는데요. 이곳에서는 재판까지 간 상황에서도 사업주가 주민들을 이 화장장으로 초대해서 직접 시연까지 했다고 합니다. 배기 시설도 보여주고 또 이 사체를 화장하면 나오는 오염, 소음이 거의 없다는 것도 직접 투명하게 확인을 시켜준 거죠. 이제 반려동물 선진국 사례를 참고하면 반려동물 놀이터가 일본에는 740개, 또 미국 뉴욕에는 130여 개가 있습니다. 그런데 이 나라들에는 이런 반려동물 놀이터가 혐오 시설이 아니라 주인들끼리도 서로 사회적으로 교류하고 또 소통하는 그런 공간이라는 인식이 있기 때문에 가능했다고 합니다.] 

▶ "내 집 앞 NO!" 반려견 놀이터에 쏟아진 삿대질

댓글
댓글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