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친절한 경제] 아시아나, 결국 '새 주인' 찾기 실패?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권애리 기자의 친절한 경제 시간입니다. 권 기자, 코로나19 장기화가 영향을 끼쳤을 거 같은데 아시아나항공의 새 주인을 찾는 지금까지 일련의 과정들이 불발 위기에 놓였다고요?

<기자>

네, 아시아나항공을 인수하겠다고 했던 회사 HDC현대산업개발이죠.

지난해 말인 12월 27일에 아시아나항공의 모회사 금호산업으로부터 아시아나항공을 데려가겠다고 계약금도 이미 내놓은 게 있습니다. 2천500억 원입니다.

보통 사람들이 집을 사고 팔 때도 계약서를 쓰면서 계약금 10%를 먼저 내놓고요, 나중에 중도금, 잔금 치르고 마지막에 등기를 마치죠.

현대산업개발도 비슷하게 아시아나 인수 과정을 올 6월까지 마무리하기로 하고 지난해 말에 계약서를 썼습니다.

아시아나 주식을 우리가 사겠고, 새 주식도 발행해서 돈도 마련하겠다, 아무튼 아시아나에 2조 5천억 원의 값을 쳐주겠다고 약속하고 그 10%인 2천500억 원을 그때 같이 내놨던 것입니다.

그런데 정작 올해 내내 인수 작업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한 채로 현대산업개발이 그 후에 등기를 마치지 않은 채로 9월까지 오게 됩니다.

아시아나 측에서는 사실상 모회사 금호산업이 아니라 아시아나항공에 돈을 많이 빌려줘 온 채권단, 산업은행을 비롯한 아시아나의 채권단이 인수 협상을 주관하고 있는데요, 현대산업개발이 이 채권단에 아시아나의 경영 상태를 들여다보게 해달라고 이번 주에 재차 요구한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이번에는 채권단도 이 인수는 역시 어렵게 되겠구나 가닥을 잡았고 다음 주 안에 협상 결렬이 공식화할 거라는 얘기가 나오고 있습니다.

<앵커>

결국에는 돈 문제일 것 같은데 어떤 부분에서 의견이 엇갈린 건가요?

<기자>

HDC현대산업개발은 원래는 인수 마무리 기한이었던 지난 6월에 인수 조건을 처음부터 다시 논의해야겠다고 주장하기 시작했습니다.

한 마디로 아시아나의 상태가 원래 사가려고 결심했던 작년에 생각한 그 상태가 아니라서 새 조건이 필요하다는 거였습니다.

올 들어서만 아시아나의 빚이 4조 5천억 원이 늘었고 순손실도 1조 원 가까이 늘었다, 그러니까 2조 5천억 원 들여서 사려고 했는데 빚이 그새 4조 5천억 원이 늘다니, 즉 사려고 계약했을 때 봤던 그 집이 아닌 것 같고 이것저것 공사할 것도 많아 보이는데 망설이는 것입니다.

올 들어 코로나19가 항공업계에 미친 충격도 물론 빼놓을 수 없습니다.

미래가 상당 기간 불확실해지고 있죠.

현대산업개발은 이 6월 이후로는 아시아나의 경영 상태를 다시 보게 해 달라, 재실사하게 해달라고 요구해 왔습니다.

채권단 측과 여러 번 만나기도 했습니다.

지난달 26일에는 최종 담판 격으로 정몽규 현대산업개발 회장과 채권단인 이동걸 산업은행 회장이 또 만났습니다.

이 자리에서 인수 비용을 깎아주겠다는 얘기도 나왔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하지만 채권단은 인수비용은 깎아줄 수 있어도 아시아나의 상태를 다시 들여다보게 해 달라는 현대산업개발의 요구는 들어줄 수 없다는 입장을 고수하고 있습니다.

석 달 동안 다시 살펴보겠다는 것은 결국 인수를 안 할 수도 있다는 포석이라는 입장입니다.

이런 최종 담판이 있었던 다음날인 지난달 27일에는 아시아나를 매물로 내놓은 금호아시아나그룹, 사실상 박삼구 전 회장 일가에 대해서 공정거래위원회가 계속해서 해온 조사를 마치고, 아시아나를 이용해 부당이득을 챙긴 혐의로 300억 원대의 과징금을 매기고 박상구 전 회장을 검찰에 고발하겠다고 밝히기도 했습니다.

결국 최종 담판 일주일 만에 현대산업개발이 다시 한번 채권단에 재실사 요구만 보내오면서 사실상 지난번 담판에 나온 새 조건을 받아들이지 않는다는 뜻을 밝혔고요, 채권단은 "그러면 이번에는 진짜 끝"이라고 입장 정리를 하고 있는 겁니다.

<앵커>

분위기가 아주 안 좋은 것 같은데 그럼 이제 아시아나는 어떻게 되는 건가요?

<기자>

이렇게 되면 일단은 산업은행을 비롯한 채권단이 아시아나를 관리하게 될 것으로 보입니다.

코로나 상황에서 어려움을 겪는 항공업계 같은 기간산업을 도와주기 위해서 조성된 기간산업안정기금이라는 게 있습니다.

여기서 돈을 조금 받아서 당장 급한 불을 끄고요, 산업은행이 최대주주가 돼서 관리하다가 새 주인을 찾아보는 안이 유력합니다.

즉 우리나라의 2대 항공사인 아시아나의 경영을 사실상 한동안 산업은행 주도로 정부가 맡게 될 가능성이 커졌습니다.

당분간 나랏돈을 들여서 기업을 존속시켜주는 상황이 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아시아나로서는 6년 만에 다시 채권단이 지휘하는 회사가 되는 것입니다.

현대산업개발이 이미 내놓은 2천500억 원의 계약금 이건 어떻게 할지 현대산업개발이 얼마간이라도 돌려달라, 소송전이 시작될 가능성도 있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친절한 경제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