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에서 코로나19 확진자가 잇따라 나오고 있습니다.
특히 강서구의 요양시설에서 이틀간 9명의 확진자가 새로 나와 방역당국이 촉각을 세우고 있습니다.
이와 별개로 '방역강화 대상 국가'에서 입국한 사람 중 해당 국가에서 발급받은 '음성 확인서'를 제출했음에도 자가격리 중 양성 판정을 받은 사례가 3건이나 나와 해외유입발(發) 감염 확산 가능성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는 20일 낮 12시 기준으로 강서구 요양시설 이용자 9명이 확진돼 접촉자 관리와 감염경로에 대한 조사를 진행 중이라고 밝혔습니다.
방대본과 서울시에 따르면 이 시설의 80대 노인(강서 85번)이 전날 처음으로 확진된 뒤 이날 오전 10시까지 다른 이용자 8명이 추가로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
이 시설은 주로 노인들이 이용하는 주간 데이케어센터 유형으로, 이용자들이 매일 집과 시설을 오가며 가족을 접촉해온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방대본은 또 역삼동 V빌딩과 한화생명과의 역학적 연관성을 확인하고 두 집단을 '강남구 사무실' 관련으로 재분류했습니다.
강남구 사무실 관련 누적 확진자는 총 24명(V빌딩 9명·한화생명 15명)입니다.
곽진 방대본 환자관리팀장은 정례브리핑에서 "기존의 한화생명 집단발생 관련 확진자 2명이 V빌딩을 방문했던 것으로 확인했다"며 "V빌딩에서 시작된 감염이 한화생명까지 연결됐을 것으로 보고 있다"고 추정했습니다.
또 서울 관악구 사무실 사례와 관련해선 1명이 추가돼 누적 확진자는 33명으로 늘어났습니다.
지역별로는 서울 12명, 광주 11명, 제주 4명, 경기 3명, 전북 2명, 전남 1명입니다.
한편 방대본은 방역강화 대상 국가에서 출발해 한국에 들어온 입국자 3명이 코로나19 음성 확인서를 제출한 후 양성 판정을 받았다고 밝혔습니다.
정부는 해외유입 감염을 최소화하기 위해 이들 국가발 입국자에 대해서는 출발일 기준 48시간 이내에 발급받은 음성 확인서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하지만 음성 확인서 제출 후 확진되는 사례가 나옴에 따라 '가짜 확인서'에 대한 조치가 필요하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다만, 잠복기 상태에서 검사를 받았다면 음성이 나올 수도 있어 무조건 '가짜'라고 단정할 수는 없습니다.
정 방대본부장은 "검체 채취에 2∼3일 정도의 차이가 있는 만큼 잠복기 등의 가능성을 두고 가짜 여부에 대해서는 계속 모니터링하겠다"고 밝혔습니다.
현재 방역강화 대상국은 총 6개국입니다.
방글라데시와 파키스탄, 카자흐스탄, 키르기스스탄에 대해서는 지난 13일부터, 필리핀과 우즈베키스탄에 대해서는 이날부터 해당 조치가 적용됐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