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차 '추석 전 교섭 타결' 목표…현중 '아직도 작년 교섭 중'


대표 이미지 영역 - SBS 뉴스

국내 최대 사업장으로 꼽히는 현대자동차와 현대중공업 노사의 올해 임금교섭 전망이 엇갈리고 있습니다.

현대차 노조는 올해 초 실리 성향 집행부 출범 때부터 '2개월 내 타결'을 공약한 상태여서 빠른 타결을 예상하지만, 현대중 노조는 아직 지난해 임금교섭마저 지지부진한 상태여서 올해 교섭 역시 늦어질 전망입니다.

현대차 노조는 이달 22일 울산 북구 현대차 문화회관에서 임시 대의원대회를 열고 올해 임금교섭 요구안을 확정한다고 오늘 밝혔습니다.

상급 단체인 금속노조가 기본급 12만304원 인상 등을 결정한 상태여서 이와 비슷한 요구안이 통과될 가능성이 큽니다.

다만, 업계에선 노조가 코로나19 여파와 자동차 산업 패러다임 변화 등으로 고용 안정에 방점을 두고, 임금 인상을 유연하게 대처한다는 취지를 우회적으로 표현해 온 만큼 노사가 입장 차이를 빠르게 좁힐 수 있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적지 않습니다.

게다가 현 노조 집행부는 출범 초기 "'뻥 파업'을 지양하고 대립적 노사 관계를 청산하자"고 밝힌 만큼 노사 갈등이 상대적으로 적을 것이라는 시각이 많습니다.

노조는 22일 대의원대회를 마무리하면 여름 휴가 직후인 다음 달 13일 사측과 상견례하고 본격적인 교섭에 나설 계획입니다.

집중 교섭을 거쳐 추석 전인 9월 말까지는 올해 임금교섭을 마무리하는 것이 목표입니다.

반면, 현대중 노조는 올해 임금 및 단체협약 교섭 일정을 잡기가 쉽지 않습니다.

지난해 5월 시작한 2019년 임금교섭이 아직도 마무리되지 못해섭니다.

광고 영역

지난해 회사 법인분할 과정에서 빚어진 조합원 해고 등 징계 문제, 사측이 노조를 상대로 제기한 손해배상소송 문제 등을 놓고 줄다리기가 이어지고 있습니다.

노조는 올해 3월 사측이 해고자 문제, 성과금 산정 기준 등에 대한 노조 제안을 수용하면 법인분할을 인정하겠다는 취지로 제안했으나 회사는 받아들이지 않았습니다.

회사 역시 최근 노조에 해고자 재입사 검토, 파업 참여 징계자 1천400여 명 해결 방안 모색, 손해배상청구 금액 최소화 등을 제안했으나, 노조는 회사 제안이 기존과 별반 다르지 않다는 입장입니다.

노조는 올해 들어 임금협상 관련 5차례 부분 파업을 벌이기도 했습니다.

(사진=현대차 노조 제공, 연합뉴스)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광고 영역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
광고 영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