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BS D포럼

[INSIGHT 02] 코로나 이후 ‘잘 산다는 것’의 정의가 바뀐다?…GDP의 대안은


코로나19 이후 ‘잘 산다는 것’에 대한 새로운 정의

글로벌 경제리더를 자처하던 미국, 역사부터 문화‧복지까지 언제나 자신감과 자부심이 넘쳤던 유럽의 많은 나라들, 늘 우리보다 앞서 있다고 생각했고 부러워했던 ‘잘 사는 나라’들이 신종 바이러스 앞에 펼친 실화는 믿을 수 없이 처참했습니다. 진단도, 방역도, 의료시스템도 우리가 항상 신봉해오던 GDP(Gross Domestic Product, 국내총생산)순은 아니었습니다. 심지어 경제적 충격의 정도도 GDP의 견고함, 우월함이 막아내지 못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수많은 국가들이 지상과제로 삼아왔던 선진국의 잣대가 되어온 그 숫자는 위기의 순간, 빛을 발하지 못했죠. 여기에서 의문이 생겼습니다. 대체 선진국이란 뭘까요?, 잘 산다는 것의 기준은 무엇이 되어야 할까요?

GDP의 한계에 대한 논의가 부상한 것이 이번이 처음은 아닙니다. 1990년대부터 세계화가 본격화되면서 경제적 양극화가 점점 심해지고, 21세기 들어 ‘국가’ 단위보다 ‘개인’ 한명, 한명의 좋은 삶 ‘웰빙’이 더 중요해지는 시대로 옮겨가면서

OECD

(경제협력개발기구)에서 조차도 2000년대부터 ‘GDP를 척도로 국가의 발전 정도를 평가하는 것에 한계가 있다’고 지적해 왔습니다. 

관련해 2006년 초 방한한 도널드 존스턴 당시 OECD 사무총장은

제4차 SBS 미래한국리포트

와의 인터뷰에서 GNH(Gross National Happiness) 즉  ‘국민총행복지수를 개발하고 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또다시 드러난 기존 경제 모델의 한계, 기업도 달라져야 한다.

이런 흐름은 기업경영환경 변화에도 영향을 미쳤는데요. 이제 기업이 사회이슈나 환경문제를 교집합으로 만나는 곳에 대한 ‘책임’ 정도로 다루는 게 아니라 기업 존립의 목표로 내세워야 한다는 개념인 ‘

트리플 바텀라인

’(Triple Bottom Line)에 힘이 실리고 있습니다. 실제 소비자들도 약간 더 비싸도 환경을 해치지 않는 기업의 제품, 인권착취가 이뤄지지 않는 공정한 제품을 쓰겠다는 움직임이 늘고 있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겪어본 적 없는 세상, 기존 경제의 틀을 넘으려면?

 <도넛 경제학>을 쓴 영국의 경제학자 케이트 레이워스에 따르면, 우리는 인류가 지구에 입힌 손상을 처음으로 깊이 자각한 세대입니다. 번영과 발전의 정의를 바꿀 수 있는 마지막 세대이기 때문에 이제 어떻게 다르게 살아갈 것인지 진지하게 질문을 던지고 행동을 해 나가야 할 때라고 그는 말합니다. 

겪어본 적 없는 세상을 직접 경험하고 있는 여러분들은, 그동안의 경제적 사고 가운데 무엇을 가장 바꾸고 싶으신가요? 어떤 가치를 우선순위에 두고, 무엇을 다르게 해보시겠습니까?

(SBS 뉴미디어부)

댓글
댓글 표시하기
SBS D포럼
기사 표시하기
SDF 다이어리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