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증상 감염자 다 못 찾는다…"거리두기-마스크 준수"

깜깜이 환자 10% ↑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감염 경로를 알 수 없는 이른바 깜깜이 확진자 비율이 10%를 넘어섰습니다. 문제는 이런 깜깜이 확진자 대부분 80%가량이 인구가 밀집해 있는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는 건데, 수도권에서는 언제 어디서 코로나19에 노출될지 알 수 없는 상황이 돼가고 있습니다.

남주현 기자의 보도입니다.

<기자>

최근 2주 동안 확진 판정을 받은 618명 가운데 감염 경로가 확인되지 않은 사람은 63명, 10.2%나 됩니다.

감염 경로를 모르는 확진자의 비율은 지난달 15일 4.9%, 지난 1일 7.5%에서 계속 빠르게 늘고 있습니다.

특히 10%를 넘어선 건 지난 4월 통계 작성이 시작된 뒤 처음인데, 대부분 인구밀집도가 높고 유동인구가 많은 수도권에 몰려 있습니다.

[정은경/질병관리본부장 : 감염 경로가 불명확한 조사 중인 사례의 80% 이상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고 50세 이상 연령층에서의 중증·위중 환자가 증가한 양상입니다.]

보건당국은 여러 연구에서 무증상 감염자의 비율이 40~50%로 추산될 정도로 높다며, 모든 코로나19 감염자를 찾을 수 없다는 점을 사실상 인정했습니다.

언제 어디서 무증상 감염자를 마주칠지 알 수 없으니 사회적 거리를 두고 손 위생, 마스크 착용 지침을 준수하라는 겁니다.

이런 가운데 서울시는 지난달 초부터 운영을 금지한 룸살롱 등 유흥시설에 대해 방역 수칙 준수를 조건으로 영업 재개를 허가했습니다.

다만 춤을 추며 많이 움직이고 침방울이 많이 발생하는 클럽, 콜라텍, 감성주점 같은 시설에 대해서는 집합 금지가 당분간 유지됩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코로나19 현황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