친절한 경제

[친절한 경제] 월급 모아 집 사기 힘들다…통계로 보니


동영상 표시하기

<앵커>

수요일 친절한 경제, 권애리 기자 나와 있습니다. 권 기자, 집값이 최근 안정세를 찾고 있다고는 하지만 사실 그동안 너무 많이 올랐잖아요, 지금이 돈 모아서 집 사기가 역대 가장 힘든 때라고요?

<기자>

네, 자산을 물려받는 거 말고 정말 내가 따박따박 버는 돈을 모아서 내 집 마련하려면 어떨까, 실제 지금 한국인들의 소득과 집값의 상관관계를 보는 통계가 있습니다.

수도권의 KB 국민은행 아파트 PIR이라는 지표입니다. 말 그대로 지금의 수도권 아파트 가격을 해당 지역 사람들의 연소득 수준으로 나눠보는 지표인데요, 작년 12·16 부동산 대책 이후 급상승세가 멈춘 올해 1분기의 자료가 나왔습니다.

서울의 KB 아파트 PIR, 11.7입니다. 이 얘기는 올해 1분기의 서울시민들 중에서 딱 중간 수준으로 버는 가족의 연소득을 한 푼도 쓰지 않고 쌓아뒀다가 서울에서 딱 가운데 오는 가격의 집을 사려고 한다고 가정할 때 11년 7개월이 걸린다는 말입니다.

1년 전에는 이게 10.5, 10년 5개월 수준이었고요. 2년 전에는 8년 9개월이면 됐습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한마디로 사람들이 버는 돈 대비 집값이 점점 커져온 것입니다. 이 통계를 내기 시작한 2008년 이후로 가장 격차가 큽니다.

이 지수는 실제로 집을 사기 위해서 지금 부동산 대출을 받고 있는 사람들의 연소득과 그렇게 해서 실제로 산 집값을 바탕으로 계산하기 때문에 현재 시장 상황에 가깝다고 보는 지표 중의 하나인데요, 서울 지역에서 1분기에 집을 사기 위해서 대출을 낸 가족들의 연소득 중간 수준 6천181만 원으로 역대 처음으로 6천만 원을 넘기기는 했습니다.

하지만 그렇게 산 집값의 가운데 수준도 처음으로 7억 원을 넘기면서 소득과 집값의 격차가 더 벌어지는 모습이 나타났습니다.

<앵커>

이렇게 되다 보니까 사실 좀 안정세라고 하더라도 월급 모아서 집 사기는 힘들겠구나, 이런 상대적 박탈감 이런 게 있을 수밖에 없겠어요.

<기자>

네, 특히 2018년 겨울 이후로 서울의 경우에는 이 지수가 계속 오르기만 하고 있습니다.

지금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상승세가 계속 유지되고 있고요, 직접 돈 벌어서 집을 산다고 할 때 3년 전보다 3년이 더 걸리는 수준입니다.

최근까지 급등해 온 집값에 대한 부담감을 내려놓을 수 있는 분위기가 아직은 보이지 않는 것입니다.

경기와 인천의 경우에는 해당 지역의 중간 연소득 대비 중간 집값을 봤을 때 돈 벌어서 집 마련하기, 경기는 6년 8개월, 인천은 7년 걸립니다.

오프라인 - SBS 뉴스

사실 서울을 제외한 수도권은 지금 표에서 보시는 것처럼 작년, 재작년보다는 시민들의 소득 대비 집값 부담이 낮아지는 추세가 보입니다.

소득만 보면 경기도 시민 중에 딱 중간 정도 버는 가족의 소득 서울의 68%, 인천은 60% 수준인데도요, 서울보다 훨씬 소득 대비 집값이 낮다고 볼 수 있는 거죠.

그리고 지금까지 보여드린 KB 아파트 PIR이랑 계산 기준이 조금 다른 PIR이 또 하나 있는데요, 이거는 그냥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전국 전체 소득 대비 집값을 봅니다.

사실 이것도 하락세입니다. 전국에서 딱 가운데 수준의 수입을 올리는 가족의 5년 2개월간의 수입이 전국에서 딱 가운데 오는 가격의 집값에 맞먹는 것으로 나옵니다.

그리고 이 지수로 계산할 때의 서울은 서울 사람들의 소득만 보지 않고요, 우리나라에서 도시에 사는 사람들의 중위소득으로 계산해서 보거든요, 그러면 14년 2개월은 한 푼도 안 쓰고 모아야 서울에서 중위 가격의 주택을 사는 것으로 나옵니다. 격차가 더 벌어지죠.

다시 말해서 수도 서울의 집값이 다른 지역보다 비싼 것은 사실 어떻게 보면 당연한 일이긴 하지만 다른 지역과의 격차가 점점 더 과하게 벌어지는 상황이 나오고 있다고 얘기할 수 있습니다.

<앵커>

서울만 유독 많이 튀는 것 같은데 앞으로는 어떨까요? 이게 서울도 지금 두 달째 하락 추세는 추세이지 않습니까?

<기자>

네, 특히 강남을 비롯해서 거품이 많이 꼈다고 했던 지역들은 하락세가 뚜렷하기는 합니다.

전문가들도 당분간 서울 집값은 내리는 쪽으로의 압력이 더 크다는 데 별로 다른 의견을 내는 사람이 없습니다.

그런데 걱정은 코로나19로 인한 경기 침체가 적기에 해소되지 않으면 사람들의 소득 수준과 집값의 차이는 계속 유지되거나 더 벌어질 수 있다는 것입니다. 집값이 떨어져도요, 반대로 집값이 너무 빨리 떨어진다고 하는 것도 이런 상황에서는 경기에 부담을 줄 수 있습니다.

어려운 상황입니다. 아무쪼록 코로나 위기에서 슬기롭게 벗어나면서 소득 수준을 조금이라도 끌어올릴 수 있도록 노력해야겠고요, 정부가 최근에 서울 지역 공급책도 내놨습니다.

계획한 대로 공급도 원활하게 이뤄지도록 하면서 집값이 계속해서 완만한 안정세를 보일 수 있게 적절한 규제와 병행할 필요가 있겠습니다.

댓글
댓글 표시하기
친절한 경제
기사 표시하기
부동산 정책 · 시장 동향
기사 표시하기
이 시각 인기기사
기사 표시하기
많이 본 뉴스
기사 표시하기
SBS NEWS 모바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