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미세먼지가 심했던 중국 모습
중국이 코로나19 확산을 막기 위해 도시를 봉쇄하는 등 경제활동을 제한한 시기, 중국 내 초미세먼지(PM2.5) 농도가 18% 넘게 감소하는 등 대기질이 크게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홍콩매체 사우스차이나모닝포스트(SCMP)에 따르면 중국 생태환경부는 1월 20일~4월 4일 중국 전역의 초미세먼지 평균농도가 전년 동기 대비 18.4% 줄어들었다고 밝혔습니다.
이 시기 공기질지수(AQI)가 100을 밑돌았던 날도 전년 동기대비 7.5% 늘어났습니다.
AQI가 낮을수록 악영향이 적습니다.
미국 항공우주국(NASA)과 유럽우주국(ESA)이 공개한 인공위성 사진을 봐도 중국 주요 도시의 1~2월 이산화질소 배출량은 전년 동기보다 크게 줄어들었다는 게 SCMP 설명입니다.
NASA에 따르면 코로나19가 가장 심각했던 후베이성 우한을 비롯한 중국 동부·중부 지방은 이산화질소 배출량이 평시보다 10~30% 적었다는 것입니다.
이 시기 중국의 경제활동이 멈춰서면서, 중국 경제계획 총괄부처인 국가발전개혁위원회(발개위)는 1~2월 중국의 도로 화물량과 석유제품 소비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5%, 14% 감소했다고 밝힌 바 있습니다.
하지만 중국이 경제활동 재개하면서 대기오염이 다시 심해질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
환경단체인 베이징 공중·환경연구센터 마쥔 주임은 "산업생산이 완전히 재개되면 오염물질 배출량도 늘 것"이라면서 "질병이 또다시 확산해 봉쇄조치가 내려지지 않는 한, 대기 질 개선은 오래 지속하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중국은 2008년 금융위기 이후 4조 위안(약 694조 원) 규모 경기 진작책을 추진하면서 대기오염이 심해진 바 있습니다.
올해도 코로나19 확산 이전부터 경기하강에 대한 우려가 있었던 데다 코로나19 충격까지 더해진 만큼, 당국이 대규모 경기부양에 나설 것이라는 예상이 나옵니다.
마 주임은 "(경기 부양을 위해) 환경규제가 뒷전으로 밀릴 수 있다는 우려가 나온다"면서 "경제발전과 환경보호의 균형을 맞추는 게 '녹색 회복'의 핵심이며 중국에 필요한 것"이라고 덧붙였습니다.
(사진=연합뉴스)